“포착한 북한의 전자상거래 변조앱, 정상앱과 거의 유사”
“출처 불분명한 이메일·문자에 첨부된 링크, 유의해야”
“북한의 해킹 수법, 갈수록 정교화·다양화해지고 있어”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국가정보원이 26일 북한의 해킹 조직이 2000만 명 넘는 국민이 사용 중인 국내 유명 쇼핑 애플리케이션(앱)을 위·변조해 유포하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히면서 국민들에게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에 국정원이 포착한 북한의 ‘전자상거래 변조앱’은 아이콘과 기능이 정상앱과 동일할 뿐만 아니라 크기마저 거의 유사했다”며 아이콘만으로는 정상 앱과 구분하기 힘들뿐더러 감염되면 기기에 저장된 모든 개인정보가 새어나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국정원은 해당 앱의 이름이나 회사명은 밝히지는 않았는데, 국정원은 “구글플레이 등 공식 앱스토어가 아닌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또는 문자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앱을 설치할 경우 각별히 유의해야 된다”면서 안전을 위해 공식 앱스토어를 이용해 앱을 설치하기를 권장했다.
더욱이 국정원은 “북한의 우리 국민 대상 해킹수법이 갈수록 정교화·다양화해지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앱을 설치할 때에는 반드시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하고 함께 백신앱에 대해서도 주기적인 업데이트로 개인정보 보안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변조앱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관련 정보를 국내·외 보안업체에 즉각 공유하고, 보안업체들이 백신 업데이트 등 보안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더 나아가 국정원은 “최근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에서도 친(親) 하마스 해킹조직이 이스라엘 국민이 사용하는 ‘미사일 공습 경보앱’을 변조·유포해 개인정보 탈취를 시도한 일이 있었다”고 함께 전해 경각심을 거듭 일깨워 주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