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과감한 ‘산후조리·출산양육 지원 정책’ 펴
10월 현재까지 441가족이 출생 축하와 함께 혜택 받아

ⓒ 서울 중구청
ⓒ 서울 중구청

최근 저출생 여파로 산후조리비용이 상승하는 등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과감한 ‘산후조리·출산양육 지원 정책’을 펴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구는 올해부터 출산양육지원금을 파격적으로 확대했다. 올해(2023년 1월 1일 이후) 중구에서 태어난 아이가 첫째 아이이면 100만 원, 둘째 아이이면 200만 원, 셋째 300만 원, 넷째 500만 원, 다섯째 이상 1,000만 원으로 증액해 지원하고 있다. 첫째아 기준 작년 대비 5배 늘어난 금액이다. 

대상은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상 중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중인 신생아의 부모여야 한다. 지원금은 부모를 대상으로 전액 일시금으로 지급한다. 10월 현재까지 441가족이 출생 축하와 함께 혜택을 받았다.

올해 1월부터 선도적으로 추진한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도 출산 가정에 힘이 되는 정책으로 꼽혔다. 보건복지부의 ‘2021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산후조리를 위해 가장 바라는 정책으로 ‘산후조리 경비 지원’이 1순위로 선정됐다. 그만큼 수백만 원에 이르는 산후조리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출산 가정의 요구를 반영해 산후조리비 1백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바우처보다 현금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 현금으로 지급한다. 대상은 출산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중구에 거주하고 신생아 출생등록을 한 가정으로 올해에만 305가정이 지원받았다.

지난 9월부터는 서울시 산후조리비 100만 원 바우처 지원을 더해 혜택이 더욱 커졌다. 중구에 거주하는 출산 가정은 산후조리 비용으로 최대 2백만 원을 지급 받는다.

이 밖에도, 구는 임신부터 출산·양육까지 다각도로 생활밀착형 정책을 펼치고 있다. 세부적으로 △중구 임신부 가사 돌봄 서비스 지원 △임산부 1인당 교통비 70만 원 지원 △다자녀·맞벌이 가사 돌봄 서비스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등이 대표적이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출산양육지원금과 산후조리비 지원은 출산 가정의 실질적인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면서,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중구가 힘이 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라며, “지원금과 함께 보육, 주거환경 개선 등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앞으로도 삶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