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공석 미국 북한인권특사직에 터너 특사 방한…北인권 한목소리

박진 외교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와 접견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 ⓒ외교부
박진 외교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와 접견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 ⓒ외교부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박진 외교이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접견하고 북한인권 관련 한미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16일 박 장관은 방한한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만나 "6년간 공석이던 미국 북한인권특사직에 터너 특사가 임명됨으로써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한미 공조의 틀이 제대로 갖춰졌다"고 평가하고, "이를 계기로 양국간 북한인권 관련 협력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박 장관은 "북한 주민들은 굶지 않고, 이웃들이 죽지 않고, 서로를 감시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에서 살고 싶어 한다"고 하면서, "북한 주민들이 기본적인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연대해 분명한 목소리를 발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장관은 "지난 4월말 양국 정상이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협력 의지를 표명했음을 상기하고, 터너 특사 취임 계기 한미간 북한인권 관련 깊이있는 협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터너 특사는 "심각한 북한인권 상황을 감안할 때, 북한인권특사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북한인권의 실질적 개선을 이끌어낸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측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특히 양측은 내년부터 한국의 유엔 안보리 이사국 수임을 계기로 유엔에서도 북한인권 증진을 위한 공조를 강화하는 좋은 기회가 마련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
 
또, 박 장관은 "최근 중국 내 억류돼 있던 탈북민 수백 명이 강제 북송됐다는 보도로 국회, 언론, 시민단체 등에서도 많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하면서, "우리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탈북민들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 강제 북송돼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