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활성화방안연구회,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지역 관계인구 증대, 지역 소멸 적극 대응 
국내외 지역축제 성공 사례 및 요인 등 분석 

14일 경북도의회 경북지역축제활성화방안연구회가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경북 지역축제 실태조사 및 방문객 유입 확대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있다. 사진/경북도의회
14일 경북도의회 경북지역축제활성화방안연구회가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경북 지역축제 실태조사 및 방문객 유입 확대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있다. 사진/경북도의회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경북지역축제활성화방안연구회(이하 연구회)는 지역 축제 활성화를 통한 지역의 관계인구를 증대시키고 지역 소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16일 경북도의회에 따르면 연구회는 지난 14일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경북 지역축제 실태조사 및 방문객 유입 확대방안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의 책임을 맡고 있는 국토도시연구원 김태경 부원장은 지역축제의 여건 변화와 최근 국내관광의 트렌드, 국내외 지역축제의 성공 사례 및 요인 등을 분석해 발표했다. 

특히, ‘별과 함께하는 별천지 영양 국제캠핑 축제 활성화 방안’ 사례를 통해 인구감소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는 경북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보고회에 참석한 연규식 의원은 민간 주도의 축제 개최 시 젊은 층과 지역주민 참여도가 낮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대책을 세워야 성공적인 축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석영 의원은 지역의 축제활성화 방안으로 체험행사가 실질적으로 중요하므로 인구소멸의 대안으로 사계절 축제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과 지역으로 찾아오는 축제로 생활인구 유입을 위해 지역주민과 전문가의 고견을 충분히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재철 의원은 지역별로 크고 작은 축제가 난립된 상황을 염려하고, 보다 특색 있는 축제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지역 간 축제도 통합형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박창욱 의원은 지역 축제를 통해 방문객 유입의 여러 가지 새로운 방안을 찾는 노력은 좋으나, 새로운 축제를 단독적으로 시도하는 것보다는 기존 축제와의 연계를 통해 발전적 방향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연구회의 대표인 박홍열 의원은 “지역 소멸의 위기에 직면한 경북도내 시․군에 ‘한 명이라도 더’ 지역을 찾을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