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자·출연 기관 사업평가 부적절
특정업체와 수의계약 의혹 질타

16일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가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의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받고 행정사무감사를 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16일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가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의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받고 행정사무감사를 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는 16일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의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받고 지역문화 활성화와 스포츠 웅도 경북의 위상 제고 및 생활체육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강도 높은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에 앞서 김상철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내년도 역점시책으로 △지역문화자산 활용 영호남 화합 교류 △‘독도수비대 강치’ 애니메이션 제작 △경북 문화유산 디지털 대전환 △종가음식 문화축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추진 △경북 무장애 관광환경 조성 △국내 최대 캠핑 페스티벌 개최 △경북형 이색 숙박시설 조성 △웰니스 관광산업 활성화 추진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체육대회 유치 △생활밀착형 체육시설 확충 등을 보고했다.

16일 정경민 위원이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16일 정경민 위원이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정경민 위원(비례) “경북 도내 2250여 개의 문화재가 있지만 학예연구직 담당 직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아울러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자리가 장기 공석에 대한 대책을 세워달라”라고 말했다.

또 “특정업체와 수의계약 과정에서 해당 업체가 실제 영업하지 않는 사업자 정황이 있다”며 “특히, 산하기관의 인사에서 사람을 맞춰서 취업(공모) 기준을 정하는 것 아니냐?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연규식 위원(포항) “산하기관·단체 운영 평가에 따른 계속 사업 지원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라고 지적하고 “경북의 문화시설은 전국 시도에서 상위권에 속하지만 도민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률이 전국 최하위이다. 시설만 확충하지 말고 도민들의 문화 혜택을 위해 대책을 강구하라”고 강조했다

김용현 위원(구미)은 “지역 문화행사(축제)와 캠핑장 등의 안전에 대해 염려가 된다. 특히 주최자 없는 행사에 안전대책을 강구해 달라”라고 당부하며 “경북도가 지원하는 지역 축제(문화예술 행사) 보전비용이 일부 시군에 치우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축해 달라”고 말했다.

임병하 위원(영주) “기구 통폐합에 대해 소관 문화환경위원회를 배제한 집행부의 일방적 조례 개정은 경북도의회를 무시하는 처사이다”며 “아울러 집행부가 업무에 원칙 없는 예외가 90%이다. 아무리 지적해도 고치려는 의지도 없다”라고 질타하며 시정을 요구했다.

김경숙 위원(비례) “문화재 보존, 홍보 등을 위한 지원에 법적 근거가 미흡하다. 조례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라고 당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 특정 업체에 지원되는 예산이 없도록 하고 한지 관련 사업과 장애인 체육인의 일자리 지원을 확대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도기욱 위원(예천) “도내 중증장애인 기업 구매율을 높여 달라. 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적인 전시 산업인 마이스 산업에 대한 관심을 가져달라”며 “집행부가 추진하는 무장애 관광 사업에 대해 장애인 전용 버스 등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박규탁 부위원장(비례) “출자·출연 기관 사업평가에 적자 사업을 성과로 보고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메타버스 등 시대가 바뀐 시대에 엑스포 등 기관 통폐합이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것은 아닌지에 의문이 생긴다”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16일 이동업 위원이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16일 이동업 위원이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과 경북도서관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삼 기자

이동업 위원(포항) “기금들은 사용 목적이 있지만 출자·출연 기관의 기금 사용 내역이 없다”며 “집행부가 타 시도에 비해 국책사업 공모에 부진하다. 아울러 국가문화재 등록 등 적극적인 문화재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본청과 산하기관들이 대표가 동일 인물로 추정되는 기업들과 수의계약을 체결한 정황이 보인다”며 “수의계약은 전문성과 긴급성을 요하는 사업이 아닐 경우 지역의 많은 업체들에게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 달라”라고 말했다.

김대일 위원장(안동) “지방소멸 대책 등 예산 편성에 있어 신규사업 개발이 부진하다. 문화 관광 트랜드가 순간순간 바뀌고 있다”며 “본청 및 산하 기관들의 지역 예술인 육성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북이 함께 안고 있는 지방 소멸 문제 해결을 위해 문화와 지역 기업의 성장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