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목표 “일자리가 곧 복지”

경북 일자리 증가율. 자료 / 경북도
경북 일자리 증가율. 자료 / 경북도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는 민선7기 좋은 일자리 창출 목표 10만개를 조기 달성했다. 이는 민선7기 목표였던 일자리 10만개를 6개월 앞당겨 달성한 것이다.

26일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도는 지난해 2만 9230개의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며 민선7기 누적 10만 4240개 좋은 일자리를 창출했다. 공공일자리는 직접일자리 등 5개 분야 7만3366개, 민간일자리는 기업 투자유치 등 3만874개이다.

민선7기 좋은 일자리 창출 실적을 분야별로 보면 행복·복지일자리 3만 1018개, 투자유치 일자리 3만 874개, 기업 일자리 2만 6969개, 문화관광 일자리 6262개, 사회적 경제 일자리 4671개, 농업 일자리 4446개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민선7기 이철우 지사 취임 직후 일자리와 인구 늘리기를 위한 경북만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 좋은 일자리 10만개 창출을 위해 도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왔다.

경북도는 그간의 정책의 대부분이 단기고용과 재정지원 일자리로 도민 눈높이를 충족하지 못해 실효성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민선7기 직후인 2018년 일자리 사업수와 예산액은 132개 사업, 4649억원에서 2021년 192개 사업, 1조 795억원으로 대폭 확대 됐다.

경북 좋은 일자리 증가율. 자료 / 경북도
경북 좋은 일자리 증가율. 자료 / 경북도

좋은 일자리 수도 2018년 1만 9289개에서 지난해 2만 9230개로 9941개 늘었다. 양질의 공공일자리 사업으로 ‘지역혁신 프로젝트 사업’, 위기의 전자산업에서 신사업으로의 전환과 일자리 매칭을 추진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기업과 청년 매칭을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등을 추진했다.

또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전체적인 고용 상황이 좋지 않았지만 지역특색이 반영된 맞춤형 일자리 시책으로 지역 청년들의 취업과 장기근속을 지속해서 지원함으로써 청년고용률은 2018년 37.3%에서 2021년 38.7%로 1.4%p 상승했고, 실업률도 2018년 12%에서 8%로 4%p 감소했다.

이에 경북도는 민선7기 좋은 일자리 10만개 창출 목표를 조기 달성함으로써 올해 말까지 목표를 상향 설정 할 방침이다.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일자리가 곧 복지라는 신념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노력해온 결과 지금의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일자리는 도민 모두와 약속이자 경북도가 대한민국의 중심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역점시책인 만큼 사업 완수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