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높은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낮아, 중기 중심 약점 타파

중기부와 식약처가 건기식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MOU를 체결했다. ⓒ중기부
중기부와 식약처가 건기식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MOU를 체결했다. ⓒ중기부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건기식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기부와 식약처가 손을 잡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정부 및 건기식 업계 등에 따르면 중기부와 식약처가 건강기능식품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건기식 기술 개발협력 MOU를 지난 8일 체결했다. 이날 협약 체결로 양부처는 중소기업 신기술·신제품 개발 촉친 및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기술 촉진과 안전하고 새로운 건기식 기술개발 사업 성과창출 등 협업체계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연평균 11% 성장률을 기록하고 잇지만 글로벌 시장 점유율 2% 수준이다. 국내 건기식 산업 구조가 중소기업 중심이어서 자금난과 규제대응 미흡 등 사유로 R&D 수행뿐만 아니라 사업화에 필요한 기능성 인정 등 신제품 개발에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

이에 반해 미국,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주요국은 건기식 시장에 대해 성장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고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인식해 투자를 확대하는 추세다.

이런 상황속 양부처는 건기식 연구과제 사전검토 단계부터 인체적용시험까지 R&D 전주기 밀착지원을 추진키로 한 것. R&D 초기 기획단계부터 안전규제 기준 적합성, 제품화 가능성을 진단 평가한다. 평가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기술개발 방향 설정 지원, 인·허가 관련 컨설팅, 교육실시 등 사업화 진출을 적극 지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R&D 성공률 제고와 함께 건기식 산업 성장 견인 등 시너지효과를 꾀한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건강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대하면서 건기식 산업도 지속성장 추세"라며 "부처간 적극 협업해 건기식 기술개발 제품 사업 사업화 성과 창울을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승용 식약처 식품안전정책국장은 "건기식 업체에 올바른 규제 서비스를 제공해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진출 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