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대통령 순방 중에 이의 많은 안건 밀어붙여 분열시키려 하나”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24일 정청래 대표가 밀어붙이고 나선 대의원·권리당원 ‘1인1표제’ 도입이 골자인 당헌·당규 개정과 관련해 “권리당원의 16.8%밖에 참여하지 않은 여론조사를 생각한다면 ‘무조건 정해졌으니 따라오라'’는 식의 방식은 민주적 절차에 부합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 당 당무위원회가 예정돼 있는데, 여러 안건 중 당대표·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권리당원 1인1표제 도입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1인1표제 원칙에 대한 찬반 문제라기보다는 절차의 정당성과 민주성 확보, 과소 대표되고 있는 이 취약지역에 대한 우려 등이 실제 논란의 핵심”이라며 “중요 제도를 충분한 숙의 과정 없이 단 며칠 만에 밀어붙이기식으로 폐지하는 것이 맞느냐 하는 문제 제기”라고 반발했다.
이 최고위원은 “더구나 왜 이재명 대통령 순방 중에 이렇게 이의가 많은 안건을 밀어붙이느냐, 그래서 당원들을 분열시킬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라며 “(지난 2023년) 60 대 1이던 대의원 대 권리당원 표 반영을 20 대 1로 축소를 시킨 바 있는데, 당시 논의 과정은 지금과 다르게 충분한 시간의 숙의 과정을 거쳐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저를 포함해 다수가 대의원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것까지도 찬성했지만, 당시에 이재명 당 대표는 대의원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수준까지 가는 것은 취약지역에 대한 우려와 여러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면서 ‘그 정도로 하자’고 했던 것”이라며 “게다가 불과 얼마 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대원제의 사실상 폐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 이들이 다수인 상황에서 급하게 처리할 이유가 없다”며 “충분한 시간을 갖고 다양한 방식의 논의를 통해 당원 전반의 동의와 반대하는 사람들도 이 정도면 절차를 충분히 거쳤고 수긍할 수 있는 숙의 과정을 거칠 것을 거듭 당부드린다”고 촉구했다.
한편 정청래 대표는 이날 열리는 당무위원회와 오는 28일 중앙위원회를 거쳐 ‘1인1표제’를 골자로 한 당헌·당규 개정 의결 절차를 밟을 계획을 세워둔 상태다. 정 대표는 전날에도 자신의 폐이스북을 통해 “1인 1표제는 논의할 만큼 논의했다”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원 주권 정당의 길”이라고 거듭 강행의 뜻을 강조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