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연료 등 탈탄소화 및 저탄소 제품 생산 확대로 감축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10일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을 심의·의결후 브리핑 하고 있다. ⓒ환경부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난 10일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을 심의·의결후 브리핑 하고 있다. ⓒ환경부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환경부)는 11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 2018년 대비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53%~61%로 감축하는 계획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2035 NDC 달성을 위한 부문별 주요 감축 수단을 보면 ▲전력 부문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산업 부문은 혁신 지원을 바탕으로 한 연·원료의 탈탄소화 및 저탄소 제품 생산 확대 ▲건물 부문은 제로에너지 건축 및 그린 리모델링 확산과 열 공급의 전기화 ▲수송 부문은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등이 있다.

이날 최종 확정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오는 21일까지 브라질 벨렝에서 개최되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공식 발표하고, 올해 안으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유엔에 공식 제출한다.

정부는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의 후속 조치로 태양광, 풍력, 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등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를 담은 ‘대한민국 녹색전환(K-GX, Green Transformation)’을 관계부처, 산업계 등과 함께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