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시장 및 IP 경쟁력 강화 전략 공개

'PUBG: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과 지드래곤의 협업 티저 이미지. ⓒ크래프톤
'PUBG: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과 지드래곤의 협업 티저 이미지. ⓒ크래프톤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크래프톤은 올해 3분기 매출 8706억원, 영업이익 3486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 7.5% 증가했다.

이를 포함한 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 2조4069억원, 영업이익 1조519억원이다. 3분기 만에 누적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어선 건 창사 이래 최초다.

사업 부문별로는 ▲PC 3539억원 ▲모바일 4885억원 ▲콘솔 102억원 ▲기타 180억원을 기록했다.

PC 플랫폼은 ‘PUBG: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 IP(지식재산권)를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하며 분기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다. 에스파·지드래곤·부가티 등 컬래버레이션 콘텐츠를 연이어 선보이며, 화제성과 트래픽 상승세의 선순환을 이끈 것이 주효했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트랜스포머’ 테마 모드, 성장형 스킨 X-Suit 등 콘텐츠 다각화와 강력한 라이브 서비스로 글로벌 유저의 큰 호응을 이끌며 성장을 견인했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 역시 분기 매출 최대치를 새로 썼다.

기타 매출은 넵튠의 애드테크 부문 광고 실적이 반영되며 지난해 3분기 대비 131% 상승했다.

한편 크래프톤은 ‘Big 프랜차이즈 IP’ 확보를 통한 5개년 중장기 계획에 따라 신규 프랜차이즈 IP 발굴을 지속하고 공격적인 투자를 펼치고 있다. 이에 맞춰 우수한 제작 리더십과 개발팀을 영입하고, 신규 프로젝트 총 11개를 가동 중이다.

이날 발표에서 크래프톤은 중장기 성장을 위한 구상도 함께 밝혔다. 우선 BGMI가 인도 국민 게임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 가운데 현지화 전략과 신작 발굴로 인도 시장 내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성장을 가속화한다.

크래프톤은 ‘인도와 함께하는 성장’을 목표로 누적 3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며 게임 및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분야 신규 IP 발굴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인도의 대표 모바일 크리켓 게임 리얼 크리켓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는 노틸러스 모바일의 경영권을 확보한 바 있다.

이와 함께 ‘AI First’ 기업으로의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크래프톤은 AI 역량을 고도화해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고, 차별화된 이용자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혁신에 나서고 있다. 약 1000억원 규모의 GPU 클러스터를 구축해 창의적 실험과 도전을 촉진할 환경을 조성하고, 조직 구조와 업무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