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부담 볼 때 일본보다 훨씬 불리한 비율의 현금투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대해 “우리는 일본과 EU보다 과도한 금액을 헌납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의미가 있겠지만, 석 달여 동안의 협상 끝에 내놓은 결과는 오히려 걱정이 앞선다. 트럼프 대통령의 표현에 의하면 관세인하 대가의 3500억 달러 지불에 더해 6000억 달러의 민간 대규모 투자가 더 있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이어 “외환보유고 규모나 GDP 대비 부담을 볼 때, 일본보다 훨씬 불리한 비율의 현금투자, 마스가 투자, 기업 투자로 인한 국내투자 공동화, 철강 산업 50% 관세유지, FTA 효과제로화 등 대한민국 미래경제에 여러 가지 부담이 과중될 게 뻔하다”며 “아무리 봐도 칭찬하기 어려울 결과”라고 혹평했다.
또 나 의원은 “무리한 요구와 약속을 받고, 그것을 분납하게 된 것을 선방이라고 할 수 없다. 분납은 리스크의 연장일 뿐”이라며 “더구나 수익 배분을 미국 요구대로 5대5로 결정한 것과 50%인 철강 관세 인하를 관철하지 못한 점도 타격이 크다”고 꼬집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한미 FTA에 따라 0% 무관세였던 자동차 관세 역시 여전히 25%의 적용을 받고 있다. 대규모 투자를 현실화해야 그나마 15%로 줄여준다는 것”이라며 “더 큰 우려는 이마저도 또 구체적 청구서의 디테일이 달라질까 하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한미관세협상 청구서를 정확하고 상세하게 국민에 소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나 의원은 “이 와중에 그들이 하는 것은 노란봉투법, 중대재해처벌법, 주4.5일 근무추진, 노동이사제는 물론 민노총 조합원 확대와 세금인상이니 대한민국 기업 축출이라 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의 리쇼어링은 물론 해외기업 투자유치에 대한 고민과 해법이 없다면 더 이상 대한민국의 청년일자리는 씨가 마를 것이고, 우리의 산업경쟁력은 급속퇴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한미 관세협상 합의…대미 투자, 현금 2천억 달러·조선 협력 1500억 달러
- [기획] 방한 앞둔 트럼프, 교착 빠진 ‘한미 관세협상’ 관전포인트는?
- 김용범 “한미 관세협상 긍정적”…김정관 “美와 오해 격차 많이 좁혀”
- [시포TV] 이준석 “관세협상, 한미FTA 체제 해체에 가까워···통상환경 후퇴”
- 부산서 미·중 정상회담, 6년4개월 만에 ‘트럼프-시진핑’ 재회
- [기획] 미국과 또 설명 다른 한미 관세협상? 여야도 엇갈린 시선
- [시포TV] 김도읍 “한미 관세협상 누구 말이 맞나…정부, 합의문 공개하라”
- 정부 ‘대미투자특별법’ 추진···민주 “APEC 끝나면 이제 국회의 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