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서비스 민관 협력 본격화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네이버와 카카오가 행정안전부와 함께 이용자가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간편하게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AI(인공지능) 에이전트 개발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행안부와 네이버, 카카오는 AI 에이전트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선도적으로 적용하고 국민 편의성을 높이는 데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주요 협력사항은 ▲민간 AI 에이전트와 공공서비스 연계를 위한 기술 방안 마련 ▲정책과제 발굴 및 제도적 기반 조성 ▲기관 간 협업 및 기술 지원 등을 통한 서비스 연계 및 확대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 협력 등이다.
특히 민간 AI 에이전트를 통해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AI 국민비서’는 민간 기업의 AI 에이전트에 공공 서비스를 연계해 국민이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일상적 대화 만으로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네이버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공공서비스와 연계해 시범서비스를 구현하고, 카카오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카나나’ 기반의 AI 에이전트를 공공서비스와 확장성이 높은 개방형 구조로 연동해 시범서비스를 구현한다. 각 에이전트는 네이버와 카카오톡에서 제공될 예정이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국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