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업무 효율 업그레이드, 내년부터 각 사업부 특화 서비스 확대

대상그룹이  올해 초 전사적 디지털 전환을 가속해 성장동력 확보에 나섰으며 최근엔 업무효율 극대화를 위해 AI중심 전환을 본격화 했다. ⓒ대상
대상그룹이  올해 초 전사적 디지털 전환을 가속해 성장동력 확보에 나섰으며 최근엔 업무효율 극대화를 위해 AI중심 전환을 본격화 했다. ⓒ대상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대상그룹이 자체 AI(인공지능) 플랫폼을 전사에 도입하여 업무 효율을 극대화한다고 23일 밝혔다.

대상그룹은 지난 2022년부터 전사적 디지털 전환(DT)을 선언한 이후 제품 기획부터 운영까지 디지털화 기반을 확립해왔다. 이번 플랫폼 도입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업무 방식에 변화를 주고, 전사적 AI 전환(AX)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시도다.

대상 AI는 웹 검색, 문서 요약, 번역, 보고서 작성 등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PDF, 엑셀, 파워포인트, 한글 등 다양한 문서 포맷을 지원하며,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인도네시아어·아랍어 등 6개 언어로 글로벌 업무 활용도를 높였다. 시스템은 전용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돼 정보 유출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플랫폼은 단순 반복 작업에서 벗어나 전략적·창의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는 전사 공통 업무 중심으로 운영 중이며, 임직원 대상의 실무 중심 AI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연말까지 변화 관리를 통해 활용 문화를 정착시키고, 이후에는 각 사업 부문별 특화 영역으로 확장 적용한다.

대상그룹은 내년을 AI 전환의 원년으로 설정하고, 특정 업무를 AI가 전담하는 ‘AI 에이전트’ 체계를 구축한다. 연구개발, 영업 자동화 등 실질적 효과가 높은 분야를 우선 적용하고, 내부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해 플랫폼 완성도를 높인다.

곽문교 대상홀딩스 DT추진실장은 “직원들이 창의적이고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생성형 AI 기반의 업무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체계적인 교육과 안정적인 인프라를 토대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해 식품 산업의 혁신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