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태계 확장 전략’ 성과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의 월간 활성이용자수(MAU)가 9월 1000만명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번 성과에 대해 에이닷이 고객들에 편리한 AI 사용 경험을 제공하며, 고객의 일상 전반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며 본격 대중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정표라고 설명했다.
또 SK텔레콤은 이 같은 결과가 SK텔레콤이 추진해온 ‘AI 생태계 확장 전략’의 결실이라며 에이닷이 해당 전략을 토대로 ‘국내 대표 AI 허브’로 도약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생태계 확장 전략’은 고객에게 일상 속에서 끊김 없는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단일 앱 중심의 서비스를 넘어 에이닷을 매개로 다양한 서비스와 플랫폼을 연결하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에이닷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기반으로 에이닷 전화를 지속 고도화해왔다.
2023년 9월 안드로이드 버전의 ‘전화’ 서비스에 통화 녹음·요약 기능을 추가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 iOS 버전에도 해당 기능을 추가했다. 2024년 10월에는 ‘T전화’에 에이닷을 결합한 ‘에이닷 전화’를 선보여 이용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 밖에도 ‘B tv’와 ‘티맵(TMAP)’ 등 고객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랫폼에 에이닷을 탑재해, AI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자연스럽게 에이닷을 접할 수 있게 했다.
SK텔레콤은 국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AI 생태계 확장 전략’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9월 글로벌 일정공유 플랫폼기업 ‘타임트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동명의 일정공유 플랫폼 앱 ‘타임트리’에 에이닷의 AI 에이전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SK텔레콤은 1000만 MAU 달성을 에이닷이 고객의 일상 속으로 한층 깊이 스며들도록 하는 전환점으로 삼고, 에이닷의 AI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내부 서비스 고도화 ▲외부 플랫폼 적용 ▲파트너사와의 협력 확대를 통해 에이닷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용훈 SK텔레콤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이 MAU 1000만을 돌파한 것은 ‘온 국민의 AI 서비스’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모든 순간에 에이닷이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AI 생태계 확장과 서비스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SK, 내달 ‘SK AI 서밋 개최’…AI 기술 리더십 제시
- [현장] SK텔레콤, 자급제 전용 서비스 ‘에어’ 론칭…“앱 하나로 다 된다”
- 이통 3사, 협력사 상생 강화…납품대금도 추석맞이 조기지급
- SK텔레콤, ‘AI CIC’ 출범…“2030년까지 연매출 5조 달성”
- HD현대, APEC서 글로벌 조선업 미래 항로 제시
- 두산연강재단, ‘제16회 두산연강예술상’ 시상식 개최
- 한화, 美 GE 에어로스페이스와 ‘함정 엔진 패키지’ 공동 개발
- 산업부 무역위, 중국과 무역구제 분야 협력 강화
- 정부, 공공 도심복합사업…2030년까지 5만호 착공
- SK텔레콤, 3분기 영업익 484억원…해킹 여파에 전년比 91% ‘뚝’
- SK텔레콤, AI 인프라 로드맵 발표…“亞 허브 도약 기반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