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입국자 주소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고 공지…입력 누락되면 입국자 통제 불가능해”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29일 법무부가 사실상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전자입국 출입국 시스템 오류를 시인했다면서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정책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법무부가 출입국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며 무비자 입국 정책을 강행한다고 밝혔지만, 뒤로는 전자입국 시스템 오류로 입국자의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긴급공지를 올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모든 입국 심사·신고 절차에서 체류지 주소 기입은 필수”라며 “그런데 지금과 같이 주소 입력이 누락되면 실제로 무비자 입국자가 입국 후 어디에서 생활하는지 알 수 없어, 사후 관리와 현장 통제가 불가능해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나 의원은 “범죄, 불법체류, 감염병 확산 등 유사시 신속 대응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글로벌 기준에서도 해외 주요국의 입국 심사·비자 면제 제도 역시 모두 체류지 주소를 필수로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강조했던대로 실제 현장의 문제는 단순히 ‘입국 심사’ 절차만의 차질 유무가 아니다”라며 “입국자들의 국내 체류지 정보와 이동 경로, 신원 확인이 반드시 정확히 입력되고 연동되어야만 불법체류, 신원미확인, 사후추적 실패 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한 발 더 나아가 나 의원은 “이제라도 법무부는 탁상논리와 형식적 설명을 멈추고,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실질적 신원확인·정보관리·사후대책을 완비하기 전까지 무비자 입국 정책을 연기해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관련기사
- 정부 전산망 셧다운···與 “예산 편성 없었어” vs 野 “예견된 참사, 특검 사안”
- “유커가 온다” 유통업계, ‘무비자 허용’에 들썩…부작용 우려도
- 김 총리 “반중집회, 강력 조치하라…중국인 불편 커지지 않게 최선 다하라”
- 민주, ‘국정자원 화재’ 윤호중 ‘경질 요구’에 반발···“정쟁 중단해야”
- 국토부, 연휴 4일간 통행료 면제…‘추석 특별교통대책’ 발표
- [시포TV] ‘李대통령 겨냥’ 이준석 “13조 현금살포 대신 디지털 인프라 구축”
- 김병기 “‘중국인 무비자 입국 막자’는 억지 주장…위험한 외국인 혐오”
- 이언주, ‘中 무비자 입국’ 재검토 촉구···“국제 마피아 대부분이 중국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