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스탠퍼드대 인간중심 AI연구소 등도 방문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과 경영진이 현지시각 22일,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담당자로부터 AI 기반 혁신사례와 기술에 대해 듣고 있다.ⓒ두산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과 경영진이 현지시각 22일, 미국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담당자로부터 AI 기반 혁신사례와 기술에 대해 듣고 있다.ⓒ두산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두산그룹이 ‘AI(인공지능)시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박지원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22~25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에서 아마존·엔비디아 등 글로벌 AI 선도 기업을 방문하고,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을 통한 성과 창출 방안을 모색한다고 23일 밝혔다.

두산 경영진은 아마존 본사에서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 운영과 고객 패턴 분석, 물류창고 운영, 로봇 자동화 등 사례를 직접 확인했으며, 물류센터를 찾아 현장에 적용된 AI·로보틱스 기술을 점검하고 협업 가능성을 모색했다.

아울러 엔비디아를 방문해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 관련 기술 현황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사업 부문별 협력 방향을 논의한다. 두산은 에너지·건설기계 분야 등 산업 특화형 피지컬 A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지컬 AI는 인간 수준의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AI를 실제 기계나 로봇 등 하드웨어에 접목해 다양한 환경에서 상황 인지와 판단, 행동까지 수행하게 하는 기술로, 두산은 이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또 두산 경영진은 두산과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맺은 스탠퍼드대학교 인간중심 AI연구소(HAI)를 찾아 최예진 교수를 비롯한 연구진과 만나 최신 연구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협의한다. 최 교수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발표한 ‘AI 분야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TIME 100 AI 2025)에 이름을 올린 인물로, 두산은 지난 4월 글로벌 산업재 기업 가운데 최초로 H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퍼플렉시티, 피지컬인텔리전스 등 스타트업 관계자 및 전문가들과의 만남도 이어간다. 두산은 제조, 사무, 투자, 인사 등 전사 영역에서 AI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향후 빠른 의사결정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박지원 부회장은 “활용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AI를 접목해야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다”며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고 했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은 그동안 AI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경영진을 대상으로 AI 집중교육을 진행해 왔다”며 “각 사 경영진은 이번 출장을 계기로 AI 혁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며, 실제 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 나갈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