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사업 전문성 강화 및 소비자 접근성 향상 추진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현대백화점면세점이 사명을 현대면세점으로 변경한다. 사명에서 백화점을 없애고 면세사업 전문성과 소비자 접근성 제고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의도다.
9일 현대면세점은 최근 주주총회에서 사명 변경 안건을 의결하고 법인명도 현대디에프로 바꾼다고 밝혔다. 현대면세점과 현대디에프라는 상표권은 현대아산이 보유 중인데, 지난달 현대아산과 상표권 양수도 관련 계약을 체결했고, 이달 초 특허청에 상표권 권리 이전 등록을 신청했다.
현대백화점에 따르면 새롭게 선보이는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매장과 광고 등에 활용해 자연스럽게 인지도를 높인다는 구상이다. 현대면세점은 사명 변경과 함께 명품 및 K패션 브랜드 유치에 박차를 가한다.
우선 인천공항점은 이달 말 펜디(제1여객터미널)와 구찌 부티크(제2여객터미널)를 오픈한다. 연말까지 생로랑과 발렌시아가 부티크도 추가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인천공항점은 루이비통, 샤넬 등을 포함해 총 22개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하게 된다. 현대면세점은 국내 면세업계 최고 수준의 명품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현대면세점 무역센터점은 연말까지 생로랑, 쇼파드, 펜디, 발렌시아가 등이 순차적으로 오픈한다. 동대문점은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K패션 브랜드를 대거 입점시켜 개별 관광객을 공략할 계획이다.
현대면세점은 여름 휴가철과 추석, 그리고 10월까지 이어지는 내국인 해외여행객 수요를 잡기 위해 마케팅도 강화한다. 대표적으로 5억 원 규모의 경품 이벤트 에브리데이 현데이(EVERYDAY HYUNDAY)를 진행해 다양한 경품을 제공한다.
현대면세점 관계자는 “해외 진출 등 사업 확장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며 “지속적인 도전과 혁신으로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더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정부, 방한 '덤핑관광' 규제 본격화…저가관광 처벌기준 세분화
- 롯데 유통, 상반기 롯데페스티벌 진행…참여사 45% 증가
- 정부, 韓 찾은 단체관광객 '쇼핑 강요'…여행사 첫 영업 정지 처분
- [포토] 뉴진스 혜인, 사슴같은 눈망울로 볼하트
- 정부, 기업들 산단 투자 가능…10일부터 입지규제 개선
- 포스코인터, 1.4조원 투자…광양 제1 LNG터미널 종합준공
- 韓, 초고압 직류송전 기술 상용화…세계 5번째
- hy, 유산균 외 건기식 시장에서 존재감 확대
- [동향] 유통‧패션업계, 소비자 트렌드‧요구 반영해 FW 시즌 접근
- 현대백화점, 부산에 커넥트현대 오픈…신개념 실속형 리테일 모델
- 현대백화점, 소비자와 공익가치 창출…ESG 경영 전개
-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7월 폐점…시내면세점 구조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