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내 기술 수출 3건 달성 목표, 생애 전 주기 걸친 인류 건강에 기여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신규 비전과 미션을 발표하고 있다. ⓒCJ제일제당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가 신규 비전과 미션을 발표하고 있다. ⓒCJ제일제당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CJ바이오사이언스가 AI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진화한다. 향후 3년 내 기술수출 3건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20일 CJ바이오사이언스는 2024 뉴 비전 선포식을 열고서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과학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과 웰니스 사업 분야에서의 혁신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비전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치료부터 예방에 이르는 생애 전 주기에 걸친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겠다 것.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는 “CJ바이오사이언스는 지속적인 임상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와 AI 관련 역량을 오랜 기간 축적해 왔다”며 “새로운 AI 시대를 맞아 디지털에서 인공지능으로의 전환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글로벌 혁신기업으로의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비전 선포와 함께 AI 기술이 집약된 이지엠(Ez-Mx®) 플랫폼을 고도화해 신약 개발을 가속화하고 신사업을 발굴한다. 이지엠 플랫폼은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약후보 및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임상의 모든 단계에서 예측 정확도를 높여 연구개발 비용을 절감하며 임상 성공률을 제고할 수 있다.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폐암 치료제 CJRB-101이 있다. 이 치료제는 키트루다와의 병용요법으로 국내에서 1·2상을 동시에 진행 중이다. 미국에서도 올해 3분기부터 임상을 시작해 다국가 임상을 개시한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폐암 시장을 우선적으로 공략하고, 퇴행성 뇌질환 및 염증성 질환 관련 파이프라인도 개발해 2026년까지 기술수출 3건을 달성할 계획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보유하고 있는 미생물 기반 과학기술과 AI 기반 플랫폼 역량은 미래 CJ그룹 웰니스 사업의 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해 안에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과 연계된 사업 구체화도 논의하는 등 CJ제일제당과의 시너지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