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대한상의‧삼성전자‧LG전자‧아워홈‧대상웰라이프, 푸드 QR 활용 MOU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기존 바코드 보다 더 많은 정보량을 담을 수 있는 QR코드가 식품에 적용되면서 활용 분야가 더 확장될 전망이다. 소비자는 소비 기한 관리를 비롯해 식재료를 활용한 조리법 등 정보도 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12일 서울 중구 소재 대한상의회관에서 식약처, 대한상의, 삼성전자, LG전자, 롯데백화점, 아워홈, 대상웰라이프는 푸드QR 국제 표준화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은 식약처가 추진중인 스마트 푸드 QR 사업에 글로벌 표준 바코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키로 했다.
스마트 푸드 QR 사업은 표준 QR코드에 식품 정보를 글로벌 표준에 맞게 담아 제조‧유통‧소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생산된 제품은 표준 QR 하나로 상품계산뿐만 아니라 제품식별과 재고관리, 소비 기한 관리까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번협약에 참가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개발을 추진중인 냉장고와 전자레인지 등 스마트 가전에도 표준 QR이 적용된다. 소비자는 재료에 부착된 표준 QR을 인식해 소비 기한을 관리할 수 있고 나아가 식재료를 활용한 조리법도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대한상의는 푸드 QR 사업 참여기관을 비롯해 산업계가 GS1 표준 QR을 원활하게 적용하도록 지원한다.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은 GS1 한국 대표기관으로 국제표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실행 과정에서 자문도 진행한다.
그동안 기존 일반 QR은 제조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고, 제공되는 정보도 제각각이어서 상호 정보 연계가 어려웠다. 푸드 QR에는 상품 식별코드, 제조번호, 일련번호, 소비 기한 등의 정보를 인터넷 주소 형식으로 표현하는 GS1 디지털 링크 방식이 적용된다. 인터넷 주소에 표시된 숫자로 상품정보, 소비 기한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로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대한상의는 표준 QR확산시 유통업체는 소비 기한이 지난 상품의 판매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고 리콜 필요 상품을 신속 추적 관리가 가능해져 소비자가 보다 안전하게 소비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영양 정보나 프로모션 정보, 마케팅 영상 제공 등 다양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오유경 식약처장은 “이번 푸드QR 사업이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해 건강한 일상을 지키는 우수한 성과를 내기를 바란다”며, “업계는 우리의 디지털 식품안전관리 기술이 미래 글로벌 식품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장근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디지털 환경을 위한 차세대 바코드인 디지털링크 기술을 식품 분야에 도입하면 IT 강국인 우리나라의 또 하나의 글로벌 선도사례”라며 “스마트 가전과 표준 QR의 연계는 소비자의 편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식약처 및 관련 기업들과 협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