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물가상승률,전월비 상승폭 둔화 예상…불확실성도 존재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 ⓒ뉴시스DB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 ⓒ뉴시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정부는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강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1일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4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4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해 부처별 물가안정 대응상황을 점검・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 차관은 "지난 한 달간 범부처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가동하면서 11월 주요 김장재료(14종) 가격이 전년보다 평균 9.7% 하락하는 등 주요 농산물 가격이 점차 안정되고, 주요 식품원료 관세인하 지속 등 정부 조치와 함께 업계에서도 물가 안정에 동참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농산물 가격에 더해 휘발유 가격이 10월초 대비 150원 수준 하락한 점 등을 감안할 때 11월 물가 상승률은 10월보다 상승폭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제유가 변동성과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내년부터 국산주류에 기준판매비율제도를 도입하여 국내 주류가격 안정을 유도하는 한편, 지난해보다 손해율이 개선된 자동차 보험에 대해 업계와 상생금융방안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날 김 차관은 "내년 1월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임박한 가운데 현장에서는 유예기간 연장, 지원 확대 등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중에 있으며 국회에서도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감안, 적용시기 유예를 위한 법 개정안이 충분한 숙의를 통해 처리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