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특별재난지역’ 지정…정부 지원 속 복구에 박차
유실된 제방 응급복구 한창, 이재민 대부분 집으로

충남 논산시 금강 제방 복원 공사 모습. (사진 / 논산시청)

[대전충남본부 / 박창규 기자] 지난 13일부터 이어진 장맛비가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든 가운데 충남 논산시는 집중호우로 발생한 피해 복구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20일 시에 따르면 응급 복구 및 피해 조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유실된 금강 제방은 95% 가량 복구했고, 논산천 제방은 40% 이상 복구가 진행된 상태로 비가 예보된 주말 이전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산사태와 지반 침하 등으로 통제됐던 도로 복구 작업도 신속하게 이뤄지면서 총 16곳의 도로 중 5곳을 제외하고는 정상 소통 중이다.

또한 주거지 침수에 대비해 임시 대피시설로 피신해있던 주민 848세대 중 20세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귀가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피해 조사 및 주민 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주말 또다시 비 예보가 있어 추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촘촘한 현장 점검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총리, 한화진 장관, 김태흠 도지사 등에게 제방 유실 피해 현황을 브리핑하는 백성현 논산시장. (사진 / 논산시청)

이러한 가운데 논산시는 지난 19일 오전 정부가 선포한 13개 특별재난지역에 포함되어 재해 복구에 탄력을 얻게 됐다.

백성현 논산시장은 최근 각각 논산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줄 것을 건의하며 국가적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백 시장은 “정부 차원의 두터운 지원을 약속받은 만큼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해 신속한 복구 작업에 나서겠다”며 “하나 된 마음으로 수마가 할퀸 상처를 함께 치유하며 다시 일어서겠다”고 전했다.

충남 논산시 성동면 비피해 현장에서 복구 작업에 나선 자원봉사자들. (사진 / 논산시청)

한편, 수해 복구를 돕기 위해 19일 오후까지 총 1,100명의 자원봉사자가 농경지와 주택 복구 현장으로 향했으며 사회단체와 종교단체에서 구호물품을 기증하는 등 각계각층에서 위기 극복에 힘을 보태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