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훈 현대차 전무, 탈 탄소화 가속·수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이미 진행중 주장

김세훈 현대자동차 전무가 2일 수소모빌리티+쇼 중 수소포럼에서 '수소사회 도래와 모빌리티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강민 기자)
김세훈 현대자동차 전무가 2일 수소모빌리티+쇼 중 수소포럼에서 '수소사회 도래와 모빌리티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강민 기자)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이미 세계는 가까운 미래에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전기차만 시판 추진' 등 친환경에너지 사회로 전환 실행 및 계획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소사회로의 보다 빠른 전환과 선제대응해야 새롭게 변화 될 산업환경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 됐다.

김세훈 전무(사진=강민 기자)
김세훈 전무(사진=강민 기자)

2일 서울 일산 킨텍스 수소모빌리티+쇼 중 진행된 수소포럼에서 김세훈 현대자동차 전무는 ‘수소사회 도래와 모빌리티 비전’을 통해 “유럽 주요국의 친환경에너지(수소) 로드맵에서 밝힌 신재생에너지 즉 결국 태양광에너지 실어나르기가 핵심이다.  이는 수소에너지와 깊은 연관이 있다. 풍력, 수력 등도 태양광에서 만들어지는 신재생에너지의 범위다. 신재생에너지는 원유와 같이 평등하지가 않다. 국제교류를 통해 이를 어떻게 배분하느냐 문제가 발생하는데 신재생에너지를 수소로 변환해 보관, 저장, 운송하는 것이 가장 용이해 이미 수소기반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이미 진행중이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글로벌 주요국가와 기업들은 기후변화와 공기질 악화에 대응해 탈 탄소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변화가 코로나19로 인해 국가와 개인간 이동이 줄어 들어 생겨나는 환경 회복이 주목받고 있는 바 탈 탄소화 속도는 현재보다 더 가속화 될 것이라 예측했다.

김 전무는 “이미 2025년부터 2040년 사이 유럽 주요국들은 내연기관차 판매금지와 전기차만 시판을 추진하는 등 탈 탄소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패러다임의 변화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더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독일은 수소 로드맵을 발표했고, 오는 8일 EU도 수소사회 관련 로드맵 발표를 예정하고 있는데 독일과 EU의 로드맵은 세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고 수소사회로의 전환을 더 앞당길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김 전무는 수소사회로의 전환에 있어 이용자가 원하는 것은 값싸고 편하게 이용하는 것인데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현 수소산업 분야의 상호발전을 제시했다.

김 전무는 “흔히들 수소·전기차를 경쟁관계로서 이야기를 많이 말한다. 경쟁관계보다는 상호보완·발전 관계로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 상용화가 선제돼야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수소를 보다 저렴하고 안전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트럭이나 버스의 경우 배터리의 크기, 장거리 이동 등의 문제로 전기차로 운용하기는 어렵다. 운송부문에서는 수소차, 승용부무에서는 수소와 전기차가 병행 발전하는 등 규모의 경제를 일으키며 같이 가야 보다 나은 수소경제 패러다임 변화로의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김 전무는 제레미리프킨의 ‘글로벌 그린 뉴딜’에 나온 산업혁명의 조건(동력원, 네트워크, 운송메터니즘)을 인용하며 동력원은 석탄과 석유를 거쳐 신재생에너지로 옮겨가고 있고 네트워크는 인쇄와 전신을 거쳐 전화와 라디오 및 TV 이후 현재는 인터넷으로 변화했고 운송메커니즘은 증기기관과 내연기관차를 지나 현재는 자율주행시대로의 변화하고 있어 결국 산업혁명이 도래 했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최연우 과장(사진=강민 기자)
최연우 과장(사진=강민 기자)

한편 최연우 산업통상자원부 신에너지산업과장에 따르면 국내 수소경제는 작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지난 1년 반동안 수소충전소  41개소를 구축했고 연말이면 80개까지 확충될 것(2022년 300개소 이상 구축)이며 연료전지 분야에서는 세계 최대 발전시장을 조성했고 세계최초로 지난 2월 '수소경제육성 및 수소안전관리법'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최 과장은 "지금까지 승용차 및 특정 연료전지 분야에 집중했다면 향후에는 구체적인 수소수급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적극적인 수소공급분야 육성정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판단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수소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소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규제정책도 선허용 후규제를 전면 확산한다. 아울러 기업생태계 혁신을 위해 대학 및 재취업자 교육과정과 자격제도를 신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창업과 산업 진입 지원을 장려한다.

또 각 지역별로 안정적인 수소공급을 위해 액화 수소 충전소 보급 등 인프라를 조성하고 수도권에는 수요창출형, 중부권에는 혁신창출형, 호남과 강원권에는 그린수소 생산형, 영남권에는 모빌리티 주도형으로 지역수소 혁신기관과 연계가 특화된 클러스터를 조성하며 지자체 수소역량평가를 통해 정부사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국제적으로는 대규모 해외프로젝트를 발굴 및 추진하고 해외기술협력과 해외기업 투자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시 지원하고 수소분야 국제협력체 등에 적극 참여해 대한민국 주도 프로그램을 제안하면서 수소산업 글로벌리더십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