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김 지사 “1월 중에 광주·전남·북 부단체장 회의로 방안 모색” 약속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 사퇴로 새로운 변수 되고 있어
내부적으로 추진해온 ‘전라도천년사 보완발간’이 변곡점 될 수도

지난 12월 26일부터 역사시민단체 대표자들이 전북도청에 모여 ‘전라도천년사 날치기 배포저지’ 등을 외치며 항의시위를 가졌다. (사진 / 역사시민단체 제공)
지난 12월 26일부터 역사시민단체 대표자들이 전북도청에 모여 ‘전라도천년사 날치기 배포저지’ 등을 외치며 항의시위를 가졌다. (사진 / 역사시민단체 제공)

지난 12월 28일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전라도천년사’ 폐기를 주장하며 13일째 철야농성중인 역사시민단체에 “(예정된) 올해 배포를 중지하고, 1월 중 광주·전남·북 부(副)단체장이 회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최근 해당 광주부시장이 4월 총선입후보를 이유로 사퇴함에 따라 이달 중 성사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주무 단체장인 김 지사는 이날 배포예정(2023년 12월 29일)이던 ‘전라도천년사’의 배포를 하루 앞두고 배포중지를 선언했고, 이어 “내년(2024) 1월 중에 광주·전남·북 부단체장 회의를 통해 향후 처리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이같이 약속했다.

전북도의 ‘배포중지’와 ‘1월 회의’라는 입장에 대해 이날 역사시민단체측은 “‘전라도천년사’ 폐기가 마땅하다. 식민사관으로 집필된 ‘전라도천년사’가 폐기될 때까지 전라도민과 함께 끝까지 싸워 나갈 것”이라고 폐기를 촉구하고, ‘농성해산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그런데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의 연말 사퇴가 변수가 되고 있다.

김 부시장은 지난 9월 25일 광주시청 앞에서 시민단체 대표들이 ‘전라도천년사’ 발간반대 노숙 농성장 방문시에 “‘전라도천년사’의 발간 찬성 입장”을 밝혀 현장의 시민들로부터 항의를 받았다는 매체의 보도가 있었다.

역사시민단체측에서는 이런 김 부시장의 사퇴가 반가운 일이지만, 그동안 부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새 부시장과 원만한 관계를 회복하는데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중요한 것은 새로 부임하는 부시장이 ‘전라도천년사’에 관해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라면서 강기정 광주광역시장과 새 부시장은 역사시민단체와 충분한 협의를 갖고 ‘3개 부단체장 회의’에 참여하는 것이 순서라는 요구도 있다.

역사시민단체 주요 관계자는 이에 대해 “‘전라도천년사’의 쟁점은 부차적인 행정효율의 관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식민사관으로 얼룩진 반민족 반역사적 내용을 걸러내고 본래의 천년사를 편찬하는 일이기에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빠르게 사업실적을 올리기보다도 식민사관 청산이라는 사명감에 충실한 편찬사업이 우선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전라북도가 지난 2일 청청고운맘 스님에게 보낸 민원 답신 공문에서 1월 중 3개 부단체장의 연석회의를 확인해주었다 (사진 /고운맘 스님 제공)
전라북도가 지난 2일 청청고운맘 스님에게 보낸 민원 답신 공문에서 1월 중 3개 부단체장의 연석회의를 확인해주었다 (사진 /고운맘 스님 제공)

아울러 지난 2일, 전라북도(문화유산과)가 ‘전라도천년사 폐기를 요구한’ 민원인(청청 고운맘스님)에게 보낸 답신공문에 “전북·전남·광주 3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해결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월 중 부단체장 연석회의를 계획하고 있음을 알려드린다”고 재차 언급해 일단 3개 지자체 회의는 후임 광주 부시장이 결정되면 무리없이 추진될 것으로 보이나, 각 지자체가 어떤 입장을 보일지가 이슈가 될 것 같다. 

본지 취재에 의하면, 현재 지방 정가에서는 최형식 전 담양군수가 광주 부시장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역사시민단체가 전북도청 앞 철야 농성 기간 중에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전북과 광주시 등과 내부적으로 ‘전라도천년사 보완발간 문제’를 협의해온 것으로 알려져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제의 이 협의사항에는 “보완발간으로 인해 추가비용이 발생하면 전라남도가 부담한다”고 까지 명시할 정도로 구체성을 띠고 있다고 전한다. 이는 전라북도와 광주시가 추가 부담이 불가할 경우를 가정한 것이지만, 전라남도가 ‘전라도천년사’를 도맡아서라도 ‘전라도천년사’를 매듭짓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머지 지자체에 통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보완발간’이라는 전라남도의 출구전략이 시민단체가 요구해 온 ‘전라도천년사 폐기’주장에 상충되는데, 여기에 광주시 광산구의회가 폐기성명을 발표해 시민단체쪽에 힘을 보태주고 있는 상황이라 이 방안이 어떤 변곡점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의장 김태완)가 지난 12월 26일 ‘전라도천년사’의 역사 왜곡을 규탄하며 즉각 폐기를 촉구했다. (사진 / 광산구의회 제공)
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의장 김태완)가 지난 12월 26일 ‘전라도천년사’의 역사 왜곡을 규탄하며 즉각 폐기를 촉구했다. (사진 / 광산구의회 제공)

7일 한 역사시민단체 대표자는 “폐기가 답이다. 시민단체와 협의도 없이 비밀리에 진행해온 ‘보완발간’이 사실이라면, 자칫 또 다른 논란을 키울 우려가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반대한다”고 말하고, “만약 보완발간에 진정성이 확인된다면 현 전북연구원 집필진을 제외하고 제3의 학계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전문가들이 공동협의하되, 보완발간은 시민들이 공람의견으로 제기한 것에 대한 수정에 집중하는 것이 1차 목표이지만, 필요할 경우 전반적인 재검토도 가능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혀 향후 ‘전라도천년사’가 광주 부시장 임명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전북도청 철야농성 역사단체 농성 해산 공동 성명서 발표에는 역사바로세우기전북연대를 비롯하여 바른역사시민연대, 호남역사바로세우기국민연대, 역사정상화전국연대, 가야사바로잡기전국연대, 중도역사보존전국연대, (사)대한사랑, (사)미래로가는바른역사협의회 등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