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문화엑스포재단 · 경북문화관광공사와의 7.1 통합과정에 잡음 많아
‘포괄승계’ 정관 꼼수 개정으로 경주시 25억원 고스란히 경북에 넘겨줄 판

경북도청 전경. 사진/김영삼 기자
경북도청 전경. 사진/김영삼 기자

[울산ㆍ경주 취재본부 / 김대섭 기자] 경북도 산하인 경북문화관광공사와 경주시 산하인 (재)문화엑스포재단이 통합과정에서 출연금 25억 원을 두고 싸우게 됐다. 

경상북도는 경북도의회와 경주시, 경주시의회 승인을 받아 경주엑스포대공원을 관리하는 (재)문화엑스포재단을 경북문화관광공사에 통합시켜 오는 7월1일 공식 출범 예정이다.

그런데 경북문화관광공사와의 통합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재)문화엑스포재단의 정관을 경주시 담당 부서인 문화관광국장과 문화예술과장도 모르는 사이에 재단의 정관 수정안이 재단 이사직을 맡고 있는 주낙영 경주시장이 최종 사인을 한 사실이 밝혀져 경주시의회 문화도시위원회가 발칵 뒤집어졌다.

문제는 통합과정에서 (재)문화엑스포재단이 설립할 당시 경주시가 출연한 25억원을 경북관광공사는 곧 사라질 (재)문화엑스포재단의 정관에 ‘포괄승계’할 수 있는 정관으로 개정했다는 사실이다. 결국 경주시가 출연한 25억원을 경주시가 반납 받지 못할 상황이 오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러한 변칙적인 정관 개정을 인지한 경주시의회는 주무부서에 이야기해 법제처에 지난 4월에 ‘포괄승계 정관 개정의 타당성’ 여부 질의를 의뢰해 놓았지만 2개월이 다된 지금 시점에도 아직 답변이 안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법제처의 판단이 쉽게 나올 수 없는 정관 개정이라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이번 통합의 핵심인 ‘포괄승계 정관 개정’이 경북문화관광공사의 결정도 아니고, (재)문화엑스포재단의 결정도 아니라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급기관인 경상북도에서 결정한 사안을 경북문화관광공사에서 실행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상급 기관인 경상북도에서 지시한 사안을 하급기관인 경북문화관광공사에서 소위 ‘까라면 깐다’는 식으로 강행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결국 이철우 도지사의 뜻을 주낙영 경주시장이 받들었을(?)것으로 보는 것이 경주시의회 문화도시위원회의 시각이다.

이와 관련해 경주시의회 문화도시위원회 이진락 위원장은 “최초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주무부서 국장, 과장에게 확인해 보니 본인들도 모르는 사이 주낙영 시장이 포괄 승계 정관 개정에 사인을 한 것 같다”고 말했으며 “주낙영 시장은 자세한 내용을 모르고 사인을 한 것”이라는 다소 무책임한 답변을 내놨다고 한다.

이에 대해 본지 기자가 주낙영 경주시장에게 (재)문화엑스포재단의 포괄승계 관련 정관 개정에 대해 사인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사인을 한 것은 맞지만 경주시가 반환 받을 25억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고 단호하게 말해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진락 위원장(사진정면 좌측)을 비롯해 문화도시위원들이 경주엑스포대공원을 방문해 정규식 사무총장(사진정면 우측)을 만나 정관 개정에 대해 질의하는 모습. 사진/김대섭 기자
이진락 위원장(사진정면 좌측)을 비롯해 문화도시위원들이 경주엑스포대공원을 방문해 정규식 사무총장(사진정면 우측)을 만나 정관 개정에 대해 질의하는 모습. 사진/김대섭 기자

이진락 위원장은 이번 사안에 대해 “이번 경주엑스포재단의 포괄승계 관련 정관 개정은 엄밀히 말하면 ‘행정사기’ 수준이며 매우 심각한 일”이라며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이번일은 경주시의회 차원에서 끝까지 시시비비를 가릴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앞서 말한대로 주낙영 시장의 답변도 25억 반환 문제는 걱정할 것 없다는 답변을 해 서로의 주장이 상충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경북문화관광공사와 (재)문화엑스포재단 통합시 경주시민의 혈세가 투입된 25억원이 경주시민과 경주시로 무사히 반환될 수 있을지 아니면 경북에 고스란히 넘겨줄지에 대해 시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재)문화엑스포재단이 관리하고 있는 경주엑스포대공원은 처음에 천년고도 경주를 대표하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국제행사로 정착시키고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6년 12월 설립된 법인이다. 1998년 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비롯한 국내 행사는 물론이고, 2006년 앙코르-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3년 이스탄불-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7년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등 굵직한 국제행사를 개최했다. 하지만 새로운 콘텐츠나 스토리가 빈약해 국민적 관심을 끌지 못한다는 평가를 오래전부터 받아왔고 경영이 방만하다는 지적이 나와 개편문제가 제기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