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혜 “자금 출처와 행방도 의문투성이”…문종형 “매입 배경, 매도 사유 등 공개하라”

김남국 의원이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김남국 의원이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국민의힘이 5일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60억원어치 가상화폐 보유 의혹을 꼬집어 자산 은닉 의도가 의심된다며 매입 배경 등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김 의원을 겨냥 “문제는 코인 거래의 시기와 자금 출처 및 행방, 그리고 논란을 대하는 김남국 의원의 태도”라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대선 패배 후 후유증으로 당과 지지자들이 상심하든 말든 방산주식 재테크에 여넘이 없었는데 이재명 키즈인 김 의원은 이런 모습이 이 대표와 너무 닮았다”고 지적했다.

전 원내대변인은 이어 “코인 거래의 시기도 매우 부적절했다. 이재명 7인회의 일원으로 지난 대선 당시 이 후보의 수행실장과 선대위 온라인소통단장이라는 중책을 맡은 김 의원은 유세 도중 눈물을 쏟았고 또 ‘매일 새벽같이 일어나 수백 명에게 일대일 카톡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며 대선에 올인한 모습을 보였다”며 “그런 그가 정작 뒤에서는 지지자를 외면한 채 열심히 사익을 추구하고 있었다. 김 의원이 코인을 전량 인출한 지난해 2월 말에서 3월 초는 가상화폐 실명제가 시행되기 직전이었는데 1년의 유예기간 동안 뭐 하다가 시행을 코앞에 두고 코인을 전량 인출 했는지 배경이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최근 공개된 김 의원의 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보면 현금의 대량 인·출입이 없고, 가상자산의 신고 내역 또한 없다. 자금의 출처와 행방 또한 의문투성이”라며 “보유 중이던 위믹스 코인을 현금화 했다면 그 돈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아니면 또 다른 코인을 구입한 것인지 납득할 만한 소명이 필요하다”고 김 의원을 압박했다.

이 뿐 아니라 문종형 상근부대변인도 같은 날 논평을 통해 “김 의원이 60억에 달하는 코인을 2달여간 보유하다가 가상화폐 거래 실명제 시행일(3월 25일)에 딱 맞춰 전량 매도한 행태는 누가 봐도 비정상적이며 자산은닉 의도까지 의심된다. 평소 본인 후원금 모금에는 남다른 열성을 보이며 작년 민주당 내 후원금 1위를 기록한 김 의원이 60억 코인보유에 대해서는 ‘신고의무가 없다’는 정치적 수사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는 국민들이 납득하기 힘든 이율배반적 모습”이라고 김 의원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 상근부대변인은 “지금처럼 60억 코익 의혹에 도망만 친다면 평소 민주당이 외치던 서민과 민생은 결국 허울 좋은 민낯이었음을 여실히 증명하는거 아니냐”라며 “김 의원은 스스로 당당하다면 법망을 피해 숨어 다니는 법꾸라지의 모습을 버리고 출처와 매입 배경, 매도 사유 등을 자세히 공개하라. 한 점 의혹 없이 국민들에게 60억 코인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앞서 이날 한 언론은 김 의원이 지난해 1~2월 가상화폐의 일종인 위믹스 코인을 최고 60억원어치 보유했다가 대선(3월 9일)과 가상 화폐 거래 실명제 실시(3월 25일)를 앞둔 지난해 2월 말~3월초에 전량 인출했다고 보도했는데, 김 의원은 이 같은 의혹 보도에 “마치 거래소 어디론가 이체해서 은닉한 것처럼 보도했으나 해당 보도는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모든 거래는 투명하게 확인이 되는 제 명의의 실명 확인이 된 전자주소로만 거래했고, 이 역시 확인 가능하다”고 반박하는 입장을 내놨다.

특히 그는 국회의원 재산 공개 원칙과 관련해서도 “재산신고는 현행 법률에 따라 항상 꼼꼼하게 신고해왔고 가상화폐의 경우 신고대상이 아니어서 제외됐다. 코님을 투자한 원금은 보유하고 있었던 주식을 매도한 대금으로 투자한 것이고 이체 내역이 모두 그대로 남아있다”며 “2016년부터 가상화폐에 투자했던 사실은 이미 변호사 시절부터 생방송과 유튜브를 통해 수차례 밝혀왔었다”고 강조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김 의원은 “가상화폐 보유 수량이나 거래 시점 등은 정확히 알기 쉽지 않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인데 이런 구체적 거래 정보가 어떻게 이렇게 자세하게 유출된 것인지 그 경위에 위법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며 “근거 없는 보도에 대해선 언론중재위 제소 등 적극적인 법률적 대응을 해나갈 것”이라고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자세를 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