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기준금리 인상하면 당일·익일 은행 예·적금 금리 올려
금융당국, 수신 금리 인상 자제 권고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지만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 인상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이를 즉각적으로 수신 금리에 반영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4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3.00%에서 3.25%로 인상한 이후 주요 시중은행 중 수신금리를 올린 곳은 케이뱅크 뿐이다. 케이뱅크는 오는 28일부터 ‘코드K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를 최고 0.5%p 인상한다고 지난 27일 발표했다.

그러나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은 물론 주요 은행은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보였을 뿐 실제 인상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 지난달 한은이 기준금리를 0.5%p 인상했을 때는 은행들이 즉각적으로 수신 금리를 올린 것과는 다른 움직임이다. 당시에는 최대 1%p나 올린 곳도 있었다.

은행들이 수신 금리 인상을 고심하는 것은 금융당국의 권고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은행으로 과도하게 자금이 몰리는 ‘역 머니무브’ 현상이 과도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최근 은행권에 수신 금리 인상 자제를 당부했다. 은행이 높은 금리로 시중 자금을 흡수하면 상대적으로 건전성이 취약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유동성 부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252조1000억원으로 9월 말보다 6조8000억원 늘었다. 특히 10월 한 달에만 56조2000억원이나 급증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24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향후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며 “역 머니무브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다음날에는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확보경쟁은 금융시장 안정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업권간·업권내 과당경쟁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수신 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가 따라 오르는 것도 부담이다. 은행권은 신규 취급액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를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코픽스는 NH농협·신한·우리·SC제일·하나·기업·KB국민·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즉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 상품 금리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대출 금리가 오른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권고에도 결국 수신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기준금리인상으로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수신금리도 올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융당국은 앞서 은행채 발행 자제도 요구했는데, 그럴 경우 은행은 수신을 통한 자금조달 외에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