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5000억원으로 종결채권 규모 1위, 뒤 이어 폴란드·러시아·중국 순

사진은 수출길에 오르기 위해 대기중인 자동차. [사진 / 시사포커스 DB]
사진은 수출길에 오르기 위해 대기중인 자동차.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한국무역보험공사(이하 '무보')가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사실상 포기한 국외채권 규모가 1조5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산자위 소속 양금희 의원이 무보에서 제출받은 '국외채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누적된 국외채권 발생액 5조 3622억원 중 회수 포기를 의미하는 종결액이 1조 5394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4.7%인 약 2261억원 가량은 일부도 회수하지 못한 전액 미회수 채권으로 나타나 채권 회수에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무보는 무역 거래에서 국내 기업이 해외 거래처에 수출대금을 받지 못할 경우 수출 기업에 먼저 보상을 해주고 해외 거래처에 자금 회수에 나선다. 그러나 채무자 파산, 영업 중단 등 회수 절차 개시에도 실익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회수 불능 채권으로 분류 후 채권 관리를 종결한다.

국가별 종결 채권 현황을 보면 미국이 501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폴란드(1747억원), 러시아(1505억원), 중국(1038억원), 브라질(954억원), 홍콩(862억원), 일본(723억원) 등 순이었다.

국외채권 잔액 현황을 살펴보면 버뮤다(2427억원), 브라질(1549억원), UAE(1214억원), 미국(1041억원), 파키스탄(996억원), 헝가리(859억원), 중국(820억원) 등 순으로 나타났는데 미국, 중국, 브라질은 종결 채권 내역에도 상위를 기록해 채권 회수에 더 집중해야 하는 국가로 분류됐다.

국외채권 회수율이 10% 미만인 국가도 6개나 나타났는데 탄자니아(1.5%), 가나(2.6%), 레바논(4.2%), 쿠바(4.3%) 등으로 이들 6개국의 회수채권 잔액은 총 2,561억원이다. 

양금희 의원은 "무보 국외채권은 회수가 안되면 사실상 손실로 인식돼 다른 기업들에게 보험료 인상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적극적으로 채권 회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