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운송노조, 운송비 27% 인상 안하면 운송거부…올해 5번째 파업

1일 서울 종로구 소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한국노총 레미콘 운송노조가 운송거부 파업을 하고 있다. 이들은 운송비 26.8%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운송비 인상률은 40%에 가깝다. (사진 / 오훈 기자).
1일 서울 종로구 소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한국노총 레미콘 운송노조가 운송거부 파업을 하고 있다. 이들은 운송비 26.8%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운송비 인상률은 40%에 가깝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시멘트 출하와 수도권 건설현장 골조공사에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수도권 레미콘 운송차주들이 운송비 26.8% 인상을 요구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집단 운송거부에 들어가면서다.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영업이 중단됐다가 다시 멈추게 되면서 레미콘 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수도권 레미콘 공장 물류는 국내 수요의 44%를 차지한다. 

1일 한국노총 소속 전국레미콘운송노조가 파업에 돌입했다. 이들은 수도권 주요 레미콘 제조사에게 운송료를 현재보다 1만5000 원 (26.8%)인상과 요소수 비용 전체를 제조사가 부담해달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파업을 시작했다. 운송거부 파업에는 참여조합원 82.7%가 동의했다.

건자재 업계에 따르면 120여개 수도권 레미콘 업체는 최대 8% 인상안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건자재 업계 관계자는 "레미콘 운송차주 월평균 수입이 600만 원을 웃돌고 컨테이너, 시멘트 운송 등 타 화물운송업계와 비교할 때 지나치게 높은 수준인데도 과한 요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노조는 수도권에서 지역별로 협상하던 방식에서 단일 협상 방식으로 운송비 적용을 주장하고 있고 레미콘 제조사들은 지역별로 운송수요·도로사정이 상이한데 단일요금 적용은 불공정하다는 입장이다.

레미콘 업계 입장에서는 6~7월은 성수기인데 불구 화물연대 파업과 이번 운송거부사태까지 이어지면서 경영난을 빠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상반기에만 철근 파동으로 인한 레미콘 공급지연, 올해만 3월 대전·충청, 4월 제주, 5월 부산·경남 창원에서도 레미콘 집단 운송거부가 일어난 바 있다.

배조웅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이미 화물연대 파업으로 3000억 원 가량 매출손실을 기록했고 현재 진행되는 운송거부는 매일 500억 원 이상 피해가 예상 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공멸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 레미콘 업계 96.8%가 중소기업이고 평균 영업이익률은 3%에 불과해 피해가 누적되면 버틸 없다는 관측이다.

문재인 집권 기간인 5년 동안 레미콘 가격은 ㎡당 6만1130 원에서 6만4980 원으로 6.3% 가량 오른 반면 운반비는 회전당 4만397 원에서 5만6500 원으로 40%(연평균 8% 수준) 가량 상승 했다.

이처럼 화물차주 및 레미콘 운송 차주 들이 운송거부와 같은 파업으로 인해 산업계에 미치는 손실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 발생하다보니 실질 적으로 개인사업자임에도 불구 근로자로 판단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부터 해결해야 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대법원 판례가 오락가락이고 고용부는 판단을 미루고 있고 악순환의 반복은 사업자를 근로자로 판단하면서 부터 시작됐다"며 "사업자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시장에서 경쟁해야 되는데도 불구하고 왜곡되고 변질된 개념 뒤에 숨어 본인들의 이익만을 주장하고 있다"라면서 "고통분담을 하자는 것이 아닌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선에서 생각하자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