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의사결정 속도 확보 및 지속가능경영 강화, 기업가치 제고 역할”
대표이사‧이사회 의장 분리…ESG 경영 원년 및 견제‧균형‧공정 강조
업계, “일부러 손에 흑단 묻힌 후 얼굴에 문지르고 ‘똑바로 세수 합시다’ 하는 꼴”

지난 2017년 54회 무역의 날에 삼양식품이 1억불 수출 탑을 받고 전인장 삼양식품 전 회장(사진 왼쪽)과 김정수 총괄사장 부부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인장 전 회장과 김 총괄사장은 작년 1월 특경법 상 유죄가 확정되며 각 징역3년, 징역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 받았다. ⓒ삼양식품 블로그
지난 2017년 54회 무역의 날에 삼양식품이 1억불 수출 탑을 받고 전인장 삼양식품 전 회장(사진 왼쪽)과 김정수 총괄사장 부부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인장 전 회장과 김 총괄사장은 작년 1월 특경법 상 유죄가 확정되며 각 징역3년, 징역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 받았다. ⓒ삼양식품 블로그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김정수 삼양식품 총괄사장이 사내(등기)이사로 복귀할 전망이다. 복귀 후 맡게 되는 직책은 ESG위원장이다. 일각에선 49억 원 횡령(페이퍼 컴퍼니 통한 회사자금 사적유용)으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형을 받았는데 사내이사 선임도 문제지만 지배구조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기구 수장으로 복귀하는 것이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삼양식품은 김 총괄사장에 경영일선에서 물러나 비재무적 경영의 일익을 담당해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역할을 맡는다는 입장이다.

지난 9일 삼양식품은 '지속가능경영 가속화'를 주제로 이사회를 재정비한다는 소식을 알렸다.

삼양식품에 따르면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두고 사외이사를 기존 1명에서 4명으로 늘리는 등 견제와 균형, 공정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ESG 요소를 전략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런 구조속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한다. 또 삼양식품은 ESG경영 원년 및 본격화를 강조하며 기업가치를 제고해 나간다고 천명했다.

전인장 삼양식품 전 회장은 지난 2018년 횡령·배임혐의가 터졌을 때 대표이사 임기만료로 자리에서 물러났고 대표이사직은 김 총괄사장이 맡았다. 작년 1월 형이 확정(전인장 전 회장 징역 3년)된 후 작년 3월 삼양식품은 김 총괄사장 사내이사 선임 안건을 철회했고 이번 선임은 1년만이다. 김 총괄사장은 법무부로부터 취업승인을 받아 작년 10월 경영에 복귀했다.

김 총괄사장이 복귀했을 당시 임직원에게 "경영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히며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를 출범 계획은 이때 알려졌다.

김 총괄사장이 경영에 복귀하면서 삼양식품 3대주주인 국민연금이 단순투자 목적에서 일반투자로 변경했다. 국민연금은 자체 가이드라인으로 '법령상 위반 우려로 기업가치 훼손이나 주주 권익 침해 사안'이 발생한 기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있다.

또 김 총괄 사장 복귀에 대해 경제개혁연대는 논평을 통해 "회삿돈을 빼돌려 사적 용도로 사용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총수일가에게 1년도 지나지 않아 피해를 끼친 회사에 경영 복귀하도록 허용한 법무부의 결정에 강력히 비판한다"며 "총수일가라 하더라도 일정한 냉각기간을 두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식품과 증권업계에서는 이번 삼양식품의 의사결정을 두고 경영 책임을 분산하고 이중 ESG경영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경영 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뜻으로 해석하면서도 전면에 나서기 힘든 오너가에 힘을 싣는 구조라는 평가가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삼양식품 주장대로 총수 일가가 복귀해야만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해 지속가능 경영능력이 강화 된다면 의사결정 구조가 상당히 경직돼 있다는 말"이라며 "유죄가 확정된 내용이 페이퍼 컴퍼니를 세워 회삿돈을 사적 유용한 것인데 ESG경영을 결정하는 위원장이라는 것은 ESG 본질을 이해 못하는 일이다. 일부러 손에 까만 흑단을 묻히고 얼굴을 문지른 다음 모두에게 '세수 똑바로 하고 다니자'라고 외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오너가 부재가 의사결정 속도에 영향을 끼쳐왔으며 김 총괄사장은 이미 법무부로부터 기업의 경영 전반에 관한 내용과 과거 실적 등을 소명해 취업제한 예외적용을 승인 받아 작년 10월 경영에 복귀했으며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이번 이사회 결정은 김 총괄사장이 실질적 경영에 참여하기 보다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의 일익을 담당하는 ESG위원장으로서 지속가능경영 환경을 구축해 무형의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일을 맡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