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미국과 조기 소통할 것”…美 국무부 “새로운 대북 접근법 채택할 것”

정의용 외교부장관. 사진 / 오훈 기자
정의용 외교부장관.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정의용 외교부장관이 강경화 전 장관에 이은 문재인 정부의 새 외교 수장으로 취임하면서 앞으로 미국, 북한과의 관계가 어떻게 정립될 것인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 장관은 취임 첫 날인 지난 9일 대미외교와 관련해 “미국과의 동맹관계가 굳건하기 때문에 양국 간 다소 상이한 의견이 있다고 해도 조율해 나가는데 큰 문제는 없다고 본다. 한미동맹은 우리 외교의 근간”이라며 “미국과 가급적 조기에 소통할 것이고 그렇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특히 그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조기에 달성하는 것은 한미 간 공동의 목표이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핵심과제이기 때문에 양국 간 소통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문 대통령이 추진하는 외교정책이 결실을 맺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뿌리를 내리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다만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는 한반도평화프로세스 등에 방점을 두고 있는 정 장관과 달리 “미국은 미국인과 동맹들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대북 접근법을 채택할 것”이란 반응을 내놓고 있는데, 9일(현지시간)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협력국과 동맹국이 미국의 전략적 목표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사실상 김정은과 직접 마주하던 트럼프 대통령 시절과는 외교 기조가 분명히 다를 것임을 내비쳤다.

실제로 프라이스 대변인은 “(새로운) 대북 접근법은 기존 대북정책에 대한 재검토에서 시작된다. 현재 진행 중인 압박 정책과 향후 외교의 잠재성에 대해 한국과 일본, 다른 동맹국, 협력국과 긴밀히 협의하고 조율할 것”이라며 조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과 만날 가능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도 “외국에 나갈 준비가 된다면 블링컨 장관이 먼저 미국의 동맹국과 협력국을 방문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심지어 그는 ‘북한이 미국의 관심을 끌기 위해 핵실험이나 미사일 시험을 할 것을 우려하지 않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그보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한국, 일본과 긴밀히 조율하지 않게 되는 상황”이라며 “북한이든 이란이든 다른 세계적 도전이든 우선 우리는 우리가 정확히 같은 입장에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고 보다 노골적으로 한미일 공조체제 강화 필요성을 역설했는데, 과거사 문제나 무역 분쟁 등 그간 지속되어온 한일 갈등 상황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되고 있다.

여기에 조 바이든 대통령 역시 지난 4일 미 국무부 청사를 방문해 연설했을 정도로 장차 ‘외교’를 중시하겠단 자세를 취하면서도 정작 연설 중엔 북한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취임 일성부터 한반도평화프로세스를 강조한 정 장관과는 온도차를 보여줬는데, 향후 북한 문제를 풀어나가는 데 있어 정 장관이 이전 트럼프 정부 때처럼 탑다운 방식을 활용해 북미대화를 성사시키는 대미, 대북 접근법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