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놀이문화에 대한 문화재적 가치 인정

윷가락(강원도 강릉시).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캡처)
윷가락(강원도 강릉시).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캡처)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윷놀이’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고 26일 밝혔다.  우리 민족 대표 전통 놀이문화인 윷놀이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한 것이다. 그동안 윷놀이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민족운동 단체등에서 제기되었으나 ‘놀이’라는 이름때문에 외면당해 왔다.

이번에 문화재청은 ‘윷놀이’에 대해 약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후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일찍이 세계적인 고고학자이며 민속학자인 스튜어트 컬런은 “한국의 윷놀이는 세계 수많은 놀이문화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고 극찬하였다. 

  ‘윷놀이’는 남북이 향유하는 전통놀이문화이다. 양편으로 나뉘어 윷가락 4개를 던져, 윷가락이 엎어지고 젖혀진 상태에 따라 윷판의 모든 말을 목적지에 먼저 도달시키는 편이 이기는 놀이로, 정초(正初)부터 정월대보름까지 가족 및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전승·유지되어 왔다. 또한, 산업화·도시화로 급격히 와해되는 사회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와 전통 속에서 단절 없이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가치를 담은 대표적인 전통 놀이문화로 자리매김해왔다.

윷놀이가 놀이 이상의 가치를 지니는 것은 우리 민족의 우주관과 천문관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음(陰)과 양(陽), 북두칠성의 운행을 상징하는 천체 28수 등 형식의 완결성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윷놀이’는 ▲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내에서 전승되고 있다는 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하여 관련 역사적 기록이 풍부하게 확인되는 점, ▲ 윷판의 형성과 윷가락 사위를 나타내는 ‘도·개·걸·윷·모’에 대한 상징성 등 학술 연구 주제로서 활용도가 높은 점, ▲ 가족 및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절 없이 전승이 지속·유지되고 있는 점 등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윷놀이’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와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종목으로 지정하였다.

 지정 예고 기간에 문화재청 누리집 및 ‘K-무형유산’ 사회관계망서비스(페이스북, 인스타그램)를 통해서 ‘윷놀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 [참고] 특정한 보유자와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고 공동체종목 지정 국가무형문화재 현황(총 15건) : 아리랑, 제다, 씨름, 해녀, 김치 담그기, 제염, 온돌문화, 장 담그기, 전통어로방식–어살, 활쏘기, 인삼재배와 약용문화, 막걸리 빚기, 떡 만들기, 갯벌어로, 한복생활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