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자료의 공개와 활용

 

국립중앙박물관의 “모두를 위한 박물관 교육” 안내 이미지. (사진 / 국립중앙박물관 캡처)
국립중앙박물관의 “모두를 위한 박물관 교육” 안내 이미지. (사진 / 국립중앙박물관 캡처)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과 한국고고학회(회장 김길식)는 “국립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자료의 공개와 활용 - 발굴자료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29일(목) ~ 30일(금) 이틀동안 자료 공개사업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일제시기 우리의 고적조사는 조선총독부의 주도로 일본인 학자에 의한 이루어졌다. 특히 1915년에 설립된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고적조사사업의 중심기관으로 평양, 경주, 부여, 공주 등 우리나라 옛 수도를 비롯하여 한반도 전 지역을 조사한 바 있다. 당시의 발굴·수집품 및 관련 자료는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소장되었다가 1945년 광복 이후 국립박물관으로 접수되었다. 당시 일제의 고적조사는 우리역사를 왜곡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으로 진행된 측면도 없지 않다. 차제에 일제강점기라는 용어가 합당한지도 한번쯤 고민할 필요가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시기 자료 정리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13년에 상당수의 자료가 일반에 공개되기도 했다. 대부분의 문서와 유리건판은 온라인으로 공개되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발굴자료 재조사도 꾸준히 진행되어 현재까지 41권의 보고서가 발간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 10년이 되는 올해에는 “지금까지의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사업의 성과를 정리하고, 보다 진전된 사업 방향을 마련하기 위하여 이번 학술대회를 개최한다”는 것이 박물관측의 취지 설명이다.

학술대회는 이틀에 걸쳐 진행된다. 첫째 날인 29일(목) 오전 10시에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사업의 결과를 분야별로 살펴 조사 성과와 향후 과제를 알아보고, 둘째 날인 30일(금) 오전 10시 30분에는 향후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사업이 진행될 방향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의견을 듣는 순서로 마련했다고 한다.

직접 참여를 원하는 분은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에서 현장 접수(선착순 100명) 후 참여할 수 있다. 장소는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 소강당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