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전환 반발' 이준석, 법원에 탄원 "가처분 인용 호소"
李, 자필 탄원서 공개에 "윤핵관, 셀프 유출 후에 셀프 격앙"
탄원 내용에 윤 대통령 '절대자'로 표현, '신군부' 우려까지

윤석열 대통령(좌)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우). 시사포커스DB
윤석열 대통령(좌)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우).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23일 윤석열 대통령을 '절대자'라고 표현하면서 윤 대통령이 '신군부'처럼 당의 비상상황에 대한 선호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며 법원에 가처분 인용을 호소하는 자필 탄원서를 최근 법원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전 대표는 23일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을 겨냥해 "'도 넘었다, 격앙' 기사 내려고 법원에 낸 자필 편지를 유출하고 셀프 격앙까지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문화일보의 <與 "李, 도 넘었다...스스로 무덤 파는 꼴" 격앙>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면서 "'열람용'이라고 뒤에 나오는 것 보면 확실하다. 그리고 위아래에 누가 열람했는지는 이미지 크롭해서 잘라내고"라고 꼬집으면서 자신이 법원에 낸 자필 탄원서가 유출된 것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내보였다. 

이어 그는 "사건기록은 채무자측 대리인이 열람 가능하고, 그거 캡쳐해서 본인들이 유출한 것 아닌 것처럼 PDF 파일 하나 만들고 언론인들에게 돌리고 있다"면서 "그런데 PDF에는 Metadata라는 것이 있는데, 까보니까 10시 59분 49초에 누군가가 MacOS에서 PDF 뽑아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전 대표는 자신의 탄원서와 관련해 "지난 19일에 제출한 편지, 22일에 송달받고 23일 언론에 보도"라면서 "셀프 유출 후에 셀프 격앙. 중간에는 셀프 쿨척"이라고 비꼬았는데, 이는 사실상 윤핵관을 향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출된 탄원서에서 이 전 대표는 "절대자가 (당의 비대위 전환) 사태를 주도했다. 절대자는 지금의 상황이 사법부에 의해 바로잡아지지 않는다면, 비상계엄 확대에 나섰던 신군부처럼 이번에 시도했던 비상상황에 대한 선포권을 더욱 적극 행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법원에 가처분 인용을 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었다.

특히 그는 "그 비상선포권은 당에 어떤 지도부가 들어온다 하더라도 뇌리의 한구석에서 지울 수 없는 위협으로 남아 정당을 지배할 것"이라면서 "대통령과 기득권 주류에게 정치적 압박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여당을 만드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 치는 것에 비견될 것이기에, 사법부에서 당내 민주주의 확립의 관점에서 살펴봐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 전 대표는 "대통령의 당 대표에 대한 텔레그램 메신저 내용이 노출된 이후 그것에 대한 해명보다는 TV조선의 단독보도로 대통령실에서 당 지도부에 비대위 전환 의견이 전달되었다는 내용이 나왔다. 그리고 다음날 비대위 전환에 반대해 왔던 권성동 원내대표 등의 당내 인물들이 별다른 설명 없이 마음을 바꾸어 비대위 전환에 박차를 가했고 특히 대통령이 휴가를 간 기간에 그것을 완수하도록 군사작전과도 같은 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보고 정당과 대통령간의 관계가 정상적이지 않은 방향으로 치닫는 것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그는 당에서 가처분 신청 기각을 확신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 "매사에 오히려 과도하게 신중한 모습을 보이며 복지부동하는 것을 신조로 삼아온 김기현·주호영 전 원내대표 등의 인물이 이번 가처분 신청을 두고 법원의 권위에 도전하는 수준의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는 그들이 주도한 이 무리한 당내 권력 쟁탈 시도가 법원의 판단으로 바로 잡힌다고 하더라도 면을 상하지 않도록 어떤 절대자가 그들에게 면책특권을 부여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심지어 이 전 대표는 "올해 6월 지방선거가 끝나고 저는 절대자와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당 대표직에서 12월까지 물러나면 윤리위원회의 징계절차와 저에 대한 경찰 수사 절차를 잘 정리하고 대통령 특사로 몇 군데 다녀올 수 있도록 중재하겠다는 제안을 받은 바 있다. (그리고) 지금 이 시점에 이르기까지 며칠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비슷한 이야기를 다른 주체들에게서 듣고 있다"면서 "저는 저에게 징계절차나 수사절차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것에 대한 타협의 가능성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매우 모멸적이고 부당하다는 생각에 한마디로 거절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