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고려인 동포들, 카자흐스탄 고려극장에서 홍범도 흉상 이전에 항의 회견
고려인들 “옛 소련에서 태어나 인생의 절반을 소련에서 살았던 나도 제거되나?”

카자흐스탄의 한 고려인이 홍범도장군 흉상 이전 소식을 듣고 이를 반대하는 의사표시를 하고 있다. (SNS에서 캡쳐)
카자흐스탄의 한 고려인이 홍범도장군 흉상 이전 소식을 듣고 이를 반대하는 의사표시를 하고 있다. (SNS에서 캡쳐)

어제(1일) SNS에 올라온 사진을 추적해보니 카자흐스탄에서 보내온 사진이었다.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로 적혀 있는 사진이었다. 사진에는 “항일독립전쟁 영웅 홍범도 장군, 모셔갔으면 제대로 모셔라”, “홍범도 장군 공산당 이력이 문제면 내 가족과 고려인 동포 50만명도 모국의 적인가?”라고 써진 플래카드였다. 모국이란 대한민국을 의미한다.

사진은 카자흐스탄에서 유해를 모셔간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육군사관학교가 학교 밖으로 이전한다는 한국으로부터의 소식을 듣고 이를 반대하는 항의성 시위로 보였다.

연합뉴스는 지난 1일 늦게, 리 류보피 카자흐스탄 국립아카데미 고려극장 예술감독과 박 드미트리 홍범도 장군 기념사업회 카자흐스탄 지회장 등 고려인 동포들이 1일(현지시각) 카자흐스탄 알마티 고려극장에서 흉상 이전 계획에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고 전했다.

회견에 따르면, 2021년 홍범도 장군 유해봉환 현장에 있었다는 박 지회장은 "당시 홍범도 장군이 아름다운 해방된 조국의 품에 안겨 영면하시겠다고 생각하면서 마음 뿌듯해했고 한국이라는 나라를 자랑스럽게 느꼈다"며 "카자흐스탄 국민들도 같은 마음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다섯 분의 독립전쟁 영웅 중에서 홍범도 장군의 흉상만 철거한다는 소식에 더 큰 충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렇다면 공산당원이었던 돌아가신 나의 부친도, 옛 소련에서 태어나고 인생의 절반 정도를 소련 체제 속에서 살았던 나도 제거 대상인가. 21세기에 공산당도 소련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은 지 30년이 넘었는데 이게 말이 되는가"라고 반문했다. 플래카드를 들고 있는 이 사진의 주인공이 박 드미트리 지회장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잠시 카자흐스탄의 역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1890년경에 러시아의 보호국이 되었던 카자흐스탄은 제정 러시아가 멸망하고 나서, 카자흐인들은 1925년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성립하였으나, 1936년에 소련 소비에트에 편입되었으며 1991년 12월 16일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다.

고려인들이 스탈린의 강제 이주명령에 의해 연해주에서 카자흐스탄 등지로 옮겨 온 것은 소련에 편입된 다음 해인 1937년이다. 이를 ‘고려인 강제이주’라 칭한다. 그러니까 연해주에서 살던 모든 고려인들은 본의 아니게 소련 소비에트 연방 체제에서 강제로 살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홍범도 장군도 1937년 소련 공산당 체제인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되었고, 1943년 7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이어 홍범도 장군이 말년에 근무했던 고려극장의 리 예술감독은 “체제와 정권이 바뀔지라도 홍범도 장군은 우리 민족의 독립전쟁 영웅”이라며 “그가 8천만 겨레의 기억 속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도록 고려극장은 있는 힘을 다하여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홍범도 장군은 2021년 8월 광복절을 계기로 유해가 카자흐스탄에서 한국에 봉환돼 대전현충원에 안장됐다.  이번 고려인동포가 올린  사진을  보며 우리의 의식은 이미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열려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주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