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환원제철 기술 조기확보, 정책기금 조성 등 대책 필요"

ⓒ 뉴시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강기성 기자] 철강산업이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조기확보, 정책기금 조성 등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제7차 미래산업포럼’을 개최하고 철강산업의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철강업계의 현실적인 어려움이 먼저 언급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만 수십조 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하며 “국내 철강산업은 최근 수익구조가 악화되면서 투자여력이 크게 줄어든 상태”라고 덧붙였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서석배 딜로이트컨설팅 상무는 디지털전환 전략에 대해 강조했다.

서 상무는 “최근 철강산업이 구조적 성숙기에 진입하면서 수요자 중심으로 시장이 바뀌고 있다”며 “기존에는 일부 대량구매 고객에게 집중하면 됐지만, 지금은 다수의 소량 구매 고객도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하는 만큼 데이터 관리의 필요성이 그만큼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탄소중립을 주제로 강연했다.

정 본부장은 “국내 철강산업은 향후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에 획기적인 진전이 없다면 추가적인 감축 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온실가스 감축 전략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석탄기반 제철공정 효율화와 전기로 확대에 집중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앞당겨 수소기반 제철공정을 확대해 나가자”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예상되는 철강업계의 대규모 투자와 리스크를 감안하면 정부에서 적극적인 세제혜택과 금융지원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 발제자인 장석인 산업기술대 석좌교수는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화와 친환경화 대응전략을 설명했다.

무엇보다 철강산업의 선제적 구조전환에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을 했다. 장 교수는 “디지털·친환경으로 산업구조를 전환하고, 포스트 철강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선도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는데, 이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노력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은 “철강업종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95% 감축하는 도전적인 계획을 수립했다”며 “우리 정부가 정책기금 확대, 신규 지원제도 도입, 세제 및 배출권거래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