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지도부 총사퇴…이낙연 “성찰의 시간 갖겠다”…靑 “더 낮은 자세로 국정 임하겠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참패로 끝난 4.7보궐선거 결과에 고개를 숙이며 지도부 총사퇴를 선언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참패로 끝난 4.7보궐선거 결과에 고개를 숙이며 지도부 총사퇴를 선언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4·7보궐선거에서 뚜렷이 확인된 정권심판 여론에 고개를 숙인 더불어민주당은 8일 지도부 총사퇴 등 즉각 후속조치에 들어갔는데, 이번 선거 참패의 후폭풍은 단지 지도부에 그치지 않고 내년에 출마하려는 여권 대선주자에도 불어 닥치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를 가진 뒤 김태년 대표 직무대행이 오후 입장발표를 통해 “이번 선거에 나타난 민심을 겸허히 수용한다. 저희의 부족함으로 국민께 큰 실망을 드렸고 결과를 책임지겠다”며 “지도부 총사퇴가 이런 성찰 혁신의 출발이 되길 바란다”고 지도부 총사퇴 결정을 밝혔다.

그러면서 김 직무대행은 “사퇴 이후 전당대회와 원내대표 선출을 최대한 앞당겨 실시하겠다. 저희는 이제 평당원으로 돌아가 민주당 혁신에 헌신할 것”이라며 “새로 선출된 지도부가 민심에 부합하는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김 직무대행과 김종민, 염태영, 노웅래, 신동근, 양향자, 박성민, 박홍배 최고위원으로 이뤄졌던 현 지도부는 전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하차하게 됐는데, 일단 최인호 수석대변인은 차기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 도종환 의원을 위원장으로, 민홍철·이학영·신현영·오영환 의원과 김영진 원내수석부대표, 박정현 대전 대덕구청장을 위원으로 하는 비대위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며 오는 16일 새 원내대표가 선출된 이후에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임하게 된다고 밝혔고 최대한 신속히 전당대회도 열기 위해 변재일 의원을 임시 전대준비위원장, 이상민 의원을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으로 인선해 내달 2일 전당대회를 열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여당 지도부의 이번 총사퇴 발표에 앞서 청와대에서도 이날 오전 강민석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재보선 결과와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을 내놨는데, “국민의 질책을 엄중히 받아들인다. 더 낮은 자세로, 보다 무거운 책임감으로 국정에 임하겠다”며 “코로나 극복, 경제회복과 민생 안정, 부동산 부패 청산 등 국민의 절실한 요구를 실현하는 데 매진하겠다”고 먼저 밝혔던 만큼 이날 민주당 지도부 역시 비슷한 목소리를 내놓게 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처럼 당청이 하나 같이 자세를 낮춘 데에는 대선이 이제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이기도 한데, 당장 여당 대권잠룡 중 한 명이자 보선 직전까지 대표로서 당을 이끌었고 이번 선거에선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던 이낙연 의원은 선거 패배 때문인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문재인 정부 첫 국무총리, 민주당 대표와 선대위원장으로서 제가 부족했고 제 책임이 크다. 성찰의 시간을 갖겠다”며 사실상 차기 대권경쟁에서 물러나는 듯한 입장을 내놨다.

다만 또 다른 여당의 대권잠룡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같은 날 페이스북에서 “준엄한 결과를 마음 깊이 새기겠다. 당의 일원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히면서도 지자체장이기에 이번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인지 이 의원처럼 성찰의 시간을 갖는다든가 하는 입장은 내놓지 않았는데, 오히려 “언제나 (민주당과)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여당 대권주자로서의 입지를 한층 굳히는 기회로 삼겠단 의도로 비쳐지고 있다.

하지만 이 의원이 대권 경쟁에서 사실상 밀려나게 되더라도 또 다른 호남 출신 잠룡인 정세균 국무총리가 내주 사의 표명할 것으로 전해지고 있고 청와대도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민주당 대선주자 자리를 이 지사가 일찌감치 독점할 거라 확신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더구나 민주당에 대한 여론의 시선이 내년 대선까지 바뀔 수 있을지도 미지수인데, 이날 총사퇴한 지도부 일원인 김종민 의원만 해도 선거 다음 날인 8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언론이 그라운드에 들어왔다, 이런 느낌을 주게 되면 민주주의에 상당한 큰 침해요소가 되거나 위험요소가 된다. 이번 선거에서 좀 더 심했다”고 주장하거나 “저희 지지층 중에 많은 분들이 투표장에 안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역설하는 등 선거 참패에 대해 여전히 다른 원인을 ‘탓’하려는 모습을 일부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