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적극적인 R&D 투자가 총 연구개발비 규모 상승 견인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과기정통부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국내에서 수행한 정부·공공, 민간분야의 연구개발 활동을 조사한 ‘2018년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18일 제16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 보고했다.

조사결과 2018년도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6조9395억원(8.8%↑) 증가한 85조 7287억원(779억달러)으로 OECD 국가 중 세계 5위 수준으로 조사됐으며, 국내 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 대비 0.26%p 증가한 4.81%로 세계 1위 수준으로 조사됐다.

분야별 연구개발비를 살펴보면, 재원별 연구개발비는 정부?공공 18조3630억원(21.4%), 민간 65조7028억원(76.6%), 외국 1조6629억원(1.9%)으로 민간 비중이 높은 구조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공공재원 대 민간·외국재원 비중이 21:79으로 전년대비 민간·외국재원 비중이 2%p가 증가했다.

2018년도 민간재원은 전년대비 5조6385억원(9.4%↑)증가한 65조7028억원(76.6%)으로, 총 연구개발비 증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됐으며, 국제비교 시에도 민간재원 연구개발비 비중은 76.6%로 일본을 제외한 주요국들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연구개발비 사용주체별로는 기업체 68조8344억원(80.3%), 공공연구기관 9조8439억원(11.5%), 대학이 7조504억원(8.2%)으로 기업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기초연구 12조1805억원(14.2%), 응용연구 18조8247억원(22.0%), 개발연구는 54조7235억원(63.8%)으로 개발연구 비중이 가장 높았다.

기업부문은 2017년에 이어 최근 2년간 투자 및 연구개발비 집행의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 집행은 기업유형별로는 ‘벤처기업’,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비중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체 연구개발비는 전년대비 6조2710억원(10.0%↑)증가한 68조8344억원(80.3%)으로, 집계 이후 처음으로 전체대비 비중 80%를 초과했으며, 기업 유형별로는 대기업이 43조8236억원(63.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벤처기업이 전년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이면서 총액으로 중소기업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연구개발비가 61조1572억원(88.8%),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1조141억원(19.4%↑) 증가한 6조2349억원(9.1%)으로, 서비스업의 증가율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도 총 연구원 수는 전년대비 3만1374명(6.5%↑) 증가한 51만4170명이고 이 중 상근상당 연구원 수는 2만5270명(6.6%↑) 증가한 40만8370명으로 세계 6위 수준이며,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14.7명(0.8명↑), 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7.9명(0.5명↑)으로 주요국들보다도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연구수행 주체별 연구원 수는 기업체 36만8237명(71.6%), 대학 10만8529명(21.1%), 공공연구기관 3만7404명(7.3%)이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했으며, 기업체에서 전년대비 증가인원이 24,870명(7.2%↑)으로 가장 많은 증가폭을 보였다.

우리나라 연구원 1인당 사용한 연구개발비(FTE 기준)는 전년대비 427만원(2.1%↑) 증가한 2억 993만원이며, 미국달러로 환산 시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는 19만0748달러로 중국(14만9671달러)과 영국(15만1512달러)를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낮은 편으로 조사됐다.

여성 연구원은 전년대비 7686명(7.9%↑) 증가한 10만4728명(20.4%)으로, 최근 10년간 여성연구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지만 일본을 제외한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2020년 1월 중으로 보고서를 발간해, 연구기관 및 연구자는 물론 일반 국민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국가통계포털(KOSIS) 등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며, OECD에도 송부해 국가 간 비교자료로 활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