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위복 계기 삼아 항구적 유출방지 시스템 구축해야

작금 일부 카드사의 고객정보 유출과 그 피해 사례를 보면 참으로 기가 찰 노릇이 아닐 수 없다.

금융당국의 신고 건수 등을 기초로 할 때 현재 1억건이 넘는 카드사 고객 정보 유출로 인해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가 5천만 명이라고 전제할 때 국민 한 명당 2건의 정보가 유출됐고, 이런 탓인지 피해자가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필자의 스마트 폰에도 최근 스미싱(smishing) 관련 문자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 ‘귀하의 00카드 일시불 50만원 정상처리, 본인 아닐 경우 확인 요망! http://183.xx.252xxxxxxxx.’ 이란 내용이다.

유출된 정보에는 카드 사용 내역은 물론이거니와 휴대전화번호와 주민번호·직장정보·신용한도금액 등 개인의 핵심적인 정보가 포함됐다고 하니 이런 문자가 무차별로 날라드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대통령은 물론 금융당국의 최고위급 인사들의 정보까지 속수무책 흘러나갔다고 하니 정보 유출에는 신분여하의 구분도 없고 성역(?) 또한 없었던 모양이다.

급기야 지난 20일 오전 10시 고객정보 유출과 관련된 3사는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 손경익 NH농협카드 부사장, 박상훈 롯데카드 사장 등 최고 임원진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고객 피해 대책 방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국민카드 심재오 사장은 “카드 부정 사용을 인지하고 신고하면 60일 이전 부정사용에 대해 보상할 것”이라면서 “정보 유출로 인한 카드 위조, 변조 피해에 대해서는 보상기간에 상관없이 카드사가 전적으로 책임질 것”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이번 피해 회원을 비롯한 전 회원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사용내역 문자 서비스를 일정기간 무료로 제공하고 광고성 문자메시지나 텔레마케팅 업무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농협 및 롯데카드 역시 고객에게 발생한 금전적 피해에 대해 전액 보상하는 등 참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의 법석을 떠는 양상을 보였다.

이미 엎질러진 물은 도로 주워 담을 순 없다. 카드 3사는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 피해자 구제에 앞장서야 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자칫 이번 피해자 전액 보상이 일회성에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유출된 고객정보는 두고두고 악용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 2,3차 피해가 시차를 두고 장기간 발생하게 되면 그 피해구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카드사들은 끝까지 고객에 대한 책임을 완수해야 할 것이다. 행여 ‘우선 소나기는 피하자’는 식으로 임기응변이나 미봉책으로 일관한다면 금융소비자들의 엄청난 반발에 부딪칠 것이다.

금융당국도 이번 사안에 대해 초강도의 제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같은 날 역대 최대 규모의 정보유출 사고를 일으킨 3개 카드사 최고경영자(CEO)에게 사실상 사퇴를 주문했다. 이날 오후 늦게 이들 경영진들은 사의까지 표명했다.

이어 다음 날인 21일에는 신제윤 금융위원장 역시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고객정보 유출 책임을 지고 KB국민·롯데·NH농협 등 카드3사 경영진이 사퇴한 데 대해서는 “그건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수습을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22일에는 정부가 고객 정보 유출에 대한 처벌 수위를 높이는 등 강경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금융소비자단체인 금융소비자원 역시 논란이 되고 있는 KB국민카드 등 일부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과 관련해서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키로 했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인 금융감독원에도 국민검사를 청구해 고객 정보 유출 규모 및 2,3차 소비자 피해 사례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촉구할 방침이다.

카드 대란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은 가히 ‘카드 패닉’ 상태다. 카드사 영업점에는 해약자, 갱신자들로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스마트 폰과 PC 앞에서는 자기 카드 피해 내역을 알기 위해 충혈된 눈을 비비고 분노하는 이들도 여기저기다.

그동안 고객 정보 유출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이번 일을 전화위복의 반전 기회로 삼기 위해 카드사의 맹성(猛省)과 완벽한 피해 구제가 있어야 하겠다.

이와 함께 항구적인 고객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을 금융당국, 업계, 금융소비자 모두 합심하여 구축하여 이 같은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