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인재등용설도 솔솔 한광옥? 한화갑?

▲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송파구 아산병원으로 선거운동기간 중 불의의 사고로 숨진 故 이춘상 보좌관과 故 김우동 실장의 납골묘를 참배한데 이어 같은 사고로 치료중인 박병혁 사진작가와 임종석 기사의 병문안을 했다. 박 당선인이 "죄송하고 몸 둘 바를 모르겠다"며 환자와 환자부모님께 위로의 말을 전했다.

대선 이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을 도운 측근들이 하나둘 떠나고 있다. 이들이 하나같이 밝힌 의사는 "새 정부서 어떤 임명직도 맡지 않을 것".

지난 20일 박 당선인은 "저에 대한 찬반을 떠나 국민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면서 "과거 반세기 동안 극한 분열과 갈등을 빚어 왔던 역사의 고리를 화해와 대탕평책으로 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탕평'이란 중국 경전인 상서(尙書)의 "무편무당 왕도탕탕 무당무편 왕도평평(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에서 나온 말로 싸움이나 시비, 논쟁 따위에서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다는 의미다.
 
1724년 즉위한 영조는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소론을 제압하고 노론을 다시 불러들이며 정국의 균형을 갖추는 탕평책을 추진한다.

이와 같이 영조는 인사정책으로 다른 당을 견제시키는 방식을 취했다. 영의정에 노론측 인사를 앉히면 좌의정은 소론 측 인물로 정해 상대하게 했다. 이후 영조는 이와같은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재능에 따라 인재를 적극 등용하는 인사정책을 단행했다.

박 당선인의 탕평책 발언 직후인 지난 21일 김무성 총괄선대본부장은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 3층 자신의 사무실 문 앞에 자필편지 한 장을 붙여놓고 떠났다. A4용지 1장짜리 편지에는 "이제 제 역할이 끝났으므로 당분간 연락을 끊고 서울을 떠나 좀 쉬어야겠다"고 쓰여있었다.

김 본부장은 일전 선대위에 들어올 때 "박 후보가 대통령이 돼도 일체의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 날, 박 당선인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해오던 이학재 후보 비서실장도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포함해 일체의 임명직을 맡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당선인을 대통령으로 만드는 데 힘을 보탰고 그 뜻을 이룬 만큼 이제 국회의원이라는 제자리로 돌아가겠다"는 것.

김성주 공동선대위원장도 같은 날 선대위 사무실에서 짐을 뺐다. 김 위원장은 "이제는 하던 사업(성주그룹 회장)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선대위에서 활약한 인사들이 줄줄이 떠나면서 "박근혜식 탕평책 시나리오가 가동된 것이 아니냐?"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박 당선인이 약속한 '탕평인사'를 위해 측근들부터 자리를 비우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당사자들은 일제히 부인하고 있는 상태지만 일각에서는 "당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당을 질서를 잡고 승리를 이끈 박근혜 리더쉽이 발휘되는 것"이며 '국민대통합'의 전조라고 못을 박았다.

선대위 인사들이 백의종군의 미덕을 보이는 것은 상대편에 대해 문을 열어놓겠다는 뜻으로 어필될 수 있다는 점은 분명 이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박 당선인의 탕평책이 나오자마자 '호남등용설'이 고개를 든 것도 마찬가지 맥락으로 보인다. 현재 인수위에 거론되는 호남인재는 한광옥 전 의원,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 등이 있다. 일각에서는 한광옥 전 의원이 유력하지 않겠느냐 보고 있지만 탕평책이 단순히 호남인재를 등용하는 것으로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한 전 대표를 점치는 분석도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이후 처음으로 투표율 두자릿 수가 깨진 호남의 정치 편심 변화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호남인재 등용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결국 호남발전을 위한 구실과 호남민심을 자극할 수 있는 명분이 있는 인사가 누구냐는 문제이다.  

한 전 대표는 일전 박 당선인을 만나 '호남발전공약'의 약속을 받아낸 바 있다. 또한 동교동계 인사 중 자기 조직을 가지고 있는 한 전 대표가 호남의 민심 변화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경우 시너지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무엇보다 새누리당 당원으로 당적을 바꾼 한광옥 전 의원보다는 당원이 되는 것은 거부하고 순수히 '정책'으로 박 당선인을 지지한 한 전 대표의 모양새가 호남 민심에는 '호남의 긍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또한 자신의 거취 문제가 단순히 '친노'에 대한 반발이냐 라는 인식에서 자유로운 것도 한 전 대표이다. 일전 한 전 대표는 "우리가 과거 유신시절로 돌아가야 하느냐?"며 과거와의 고리를 끊었고 "이제는 정책으로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며 자신의 거취 결정이 '친노에 대한 반발'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현재로서는 박 당선인의 대탕평책이 어떤식으로 전개될지는 미지수다. 그러나 이학재, 김무성, 김성주 등 자기 사람이 뒤로 물리는 이러한 행보가 탕평책의 일환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