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T기술로 인해 자동차는 더욱 더 스마트해졌고, 운전자를 위한 서비스와 운전자 보조를 위해 많은 전장 장비로 무장하게 되었으며 더 발전할 것이다. 자동차는 이제 더 이상 기기가 아닌 전장장비를 갖춘 일명 ‘바퀴 달린 컴퓨터’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자동차 해킹’이 이슈화 되면서 자동차 보안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만큼 자동차 해킹에 대한 보안정책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자동차 전장의 발달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하는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산업전시회 MWC (Mobile World Congress)를 통해 볼 수 있다. 매년 1000여 개의 모바일 회사가 참가해 일명 ‘모바일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MWC’에 2010년부터 완성차회사가 참여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2010년에 SK텔레콤과 르노삼성 자동차가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개발하여 휴대폰으로 자동차 문을 여닫거나 시동을 거는 기능 등을 공동 진행해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휴대폰 단말기의 ‘만능 리모컨 시대’를 열었고, 2011년에는 자동차와 모바일 IT기술을 결합해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휴대폰을 통해 자동차를 원격으로 진단/제어하고, 각종 모바일 콘텐츠를 자동차에서 구현하는 것은 물론, 길 안내·위치 정보제공 등 네비게이션 기능까지 가능한 ‘Smart MIV(Mobile in Vehicle)’를 중국에서 상용화 개시하였다. 2012년 초에는 포드사가 첨단 IT기술인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폰 기능을 접목한 ’스마트카 (SMART CAR)’를 선보였다.

이렇듯 운전자를 위한 서비스와 보조 시스템은 나날이 발달해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완성차회사들은 자동차 내부의 전장에 대해서는 그 어떤 암호화나 보안을 적용시키지 않고 있으며, 개발단계도 미비하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첨단 IT기술로 더욱 스마트해진 자동차는 해커의 공격에 노출 될 수 밖에 없다. 실예로 Black HAT 보안 컨퍼런스에서 스마트폰으로 명령어를 문자로 전송해 자동차를 문을 열거나 고속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를 공격해 사고를 일으키도록 만들었던 실험도 있었다.

또한 공격은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자동차 자가진단 프로그램에서부터 음악까지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자동차는 이제 ‘바퀴달린 컴퓨터’다. 보안이 강구되지 않은 자동차는 운전자의 생명뿐 아니라 상대방도 위협하는 흉기다. 이제 흉기를 파는 완성차업체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하는 보안기술을 시급히 개발해야 할 것이며 정부는 앞으로의 기술 개발이나 사업을 추진할 때에는 반드시 보안을 고려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