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 산업은 차량 내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자동차 소프트웨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소프트웨어가 자동차 전장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아직까지는 기기에 종속되어 있는 구조형태를 가지고 있어, 기기의 종류나 사양이 달라지면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고, 심지어는 재개발을 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럽, 미국 등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s Architecture) 표준화 플랫폼 및 컴포넌트를 적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AUTOSAR는 2005년 1월에 1.0이 첫 배포된 이후로 현재까지 꾸준히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어 현재 4.03버전까지 진행되었으며, 실시간 환경 하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시켜 소프트웨어의 독립성과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켜 주고 있다.

AUTOSAR 소프트웨어는 크게 SWC(Software Component), RTE(Run Time Environment), BSW(Basic Software)의 3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AUTOSAR 표준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개발(CBD: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을 통해 여러 개의 컴포넌트들이 입/출력 포트를 가지며 서로 가상의 통신을 한다.

SWC는 가장 상위에 위치하며 엔진, 자동 변속기, 브레이크제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VFB(Virtual Functional Bus)라는 가상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ECU에 맵핑 되어 동작한다. RTE는 SWC와 BSW사이에 위치하며 이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RTE는 SWC가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는 독립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모듈간의 통신연결을 수행한다. BSW는 최하층에 위치하며 OS(Operating system), Device Driver, Communications 같은 SWC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중 가장 중요한 모듈인 OS는 자동차용 실시간 운영체제 표준인 OSEK/VDX를 기반으로 설계 되었다.

이렇게 세계 자동차 시장은 자동차 전장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 전장부품 개발에 적용되고 있는 ‘차량SW플랫폼 AUTOSAR4.0 대응준비’ 교육을 2번째로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행하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증가는 그 복잡도가 높아진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오류나 오작동과 같은 버그(bug)의 증가도 불러올 수 있어 예기치 못한 자동차의 품질 저하를 가져오기 쉽다. 그 예로 토요타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Prius는 가솔린 엔진이 정지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총 75,000대를 리콜하였으며, BMW의 745i는 엔진벨브 타이밍을 조정하는 ECU의 결함으로 주행 중 엔진이 꺼지는 문제로 총 5,470대를 리콜한 바 있다.

그러므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AUTOSAR의 표준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해서도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