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방부 인터넷 해킹만 5건, 모두 중국발 해커에 의한 침해 시도

우리 국방부 및 예하 홈페이지 및 국방망의 사이버 침해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성(한나라당) 의원실이 국방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우리 국방부가 운용하고 있는 국방망과 인터넷 망에 사이버 침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년까지는 인터넷 해킹 등이 1∼2건이었던 것에 비해 올해 8월말 현재 홈페이지 침해사례가 5건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국군 기무사령부에 따르면 올해 5건의 침해 사례는 모두 중국발 해커가 발송한 E-mail을 수신·열람으로 인해 해킹당해 군사자료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예전의 공격형태가 단순 홈페이지 변조 등 직접적인 해킹 공격에서 장병들이 사적으로 이용하는 E-mail 대상으로 공격을 실시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어, 직접적인 자료 유출이 추정이 되는 만큼 우리 군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게다가 이번 중국발 해커를 통한 군사자료 유출에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번 해킹이 대부분 중국을 통해 이뤄진 만큼 북한의 해커에게 당했을 가능성이 대단이 높고 어떤 자료가 얼마나 유출이 됐는지 모르는 상황이다.

국방부 자료(합참 정보본부 군사력평가과장)에 따르면 북한은 이미 지난 1986년부터 5년과정의 '자동화대학'을 통해 전산 요원을 양성해 활용하고 있으며 탈북자 등의 증언에 따르면 해킹 요원은 1991년 이후 전산요원 중에서 우수자를 별도로 선발하여 양성해 500명에서 600명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군의 대응 실태는 북한군의 규모에 비하면 미흡한 실정이다.

2008년도 9월말 현재 우리 군이 유지하고 있는 CERT(Computer Emergency Response Team, 침해사고대응반)은 237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리고 국방부가 김동성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 군은 현재 방어 위주의 대응태세만 유지하고 있을 뿐 적의 침해시도의 근원지 파악·차단 및 역추적을 통한 공세적 대응기술이 없어 향후 이와 같은 기술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이상희 국방장관도 지난 7월14일, 해킹 및 군사자료 유출 방지대책 강구하라는 지휘 서신을 각 부대에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김동성 의원은 "우리 군은 첨단 정보통신을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오히려 사용자의 부주의와 외부 공격에 의해 한순간 우리의 지휘체계 기능이 곤란해 질 수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며 국방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