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원전 운영 경험과 완비된 안전체계로 핵융합 연구 최적지” 강조

경주시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사진/경주시
경주시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조감도. 사진/경주시

[울산·경주 취재본부 / 김대섭 기자] 경주시는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유치를 위해 공식 공모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신청 부지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부지 약 51만㎡로, 산업단지로 조성돼 향후 연구시설 건립과 착공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경주는 지난 50년간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해 온 도시로,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월성원전,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본사, 중·저준위 방폐장 등 국가 원전산업 핵심기관이 모두 집적돼 있다. 특히 월성원전이 보유한 삼중수소는 핵융합 연구의 필수 연료로, 장거리 운송 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달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또한 연구시설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도 원거리 이동 없이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으며, 지질·지반 안전성 검증, 풍부한 냉각수, 방사선 감시망과 완비된 비상대응체계 등은 핵융합 연구시설의 안전성과 운영 효율성을 보장한다.

경주시는 문무대왕과학연구소 내 부지를 활용할 경우 시설 공동 활용, 연구 네트워크 연계, 전문 인력 및 장비 공유가 가능하며, 양성자과학연구단, 중수로해체기술원, SMR제작지원센터 등 인근 연구 거점과의 협력도 기대된다.

이번 사업은 2027년부터 2036년까지 추진되며, 핵융합 소형화 기술과 전력 생산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경주는 원전 운영 경험, 연구기관 집적, 안전 인프라, 인재 양성 체계 등을 고루 갖춘 도시로, 세계적 핵융합 연구개발 도시로 성장할 최적 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경주는 국내 유일의 원자력 관련 핵심 시설과 연구 인프라가 집적된 도시로, 핵융합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필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며, “국가 미래 에너지 전략을 선도하는 핵심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