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의료 대란 모두에게 고통 남겨···공공의료 확충할 것”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지난 1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2일 공공의대 설립 추진으로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의대 정원 합리화를 위한 재설계 작업에 나설 것이라고 공약했다.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여전히 ‘거주 지역’과 ‘민간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격차가 존재한다”며 “아플 때 국민 누구도 걱정 없는 나라,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파도 갈 병원이 주변에 없고 병원 문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의료접근성이 실질적인 환자의 필요보다 지역 여건, 소득 수준, 의료기관 분포에 더 크게 좌우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아프면 병원으로’라는 당연한 상식이 제대로 통용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환자의 필요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료개혁, 요양과 돌봄까지 이어지는 포괄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공공의대 설립 추진으로 공공·필수·지역 의료 인력 양성 ▲지방의료원 지원 확대 ▲건강보험 제도 개혁 ▲의대 정원 합리화 ▲돌봄통합지원법 기반 통합돌봄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따른 의정 갈등 장기화 문제에 대해서도 다시 원점에서 검토하여 재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이제 갈등과 대립, 정쟁을 끝내야 한다”면서 “모든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에서 다시 출발해 AI와 첨단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시대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지난 정부의 의정 갈등 배경과 관련해 “정부의 일방적 결정에 의료계는 대화의 문을 닫았고, 결국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진료를 제대로 받지 못한 환자들은 생사를 넘나들어야 했고, 전공의와 의대생들은 병동과 학교를 떠났다”며 “지난 의료 대란은 모두에게 고통을 남겼다”고 평가했다.

그는 “국민의 생명보다 더 소중한 가치는 없다. 아프면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차별 없이 치료받는 나라, ‘진짜 대한민국’이 되어야 한다”면서 ‘공공의료 확충, 의료 불평등 완화’를 자신의 의료개혁 중점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