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용 시인 다섯 번째 시집

안개가
나뭇잎에 몸을 부빈다
몸을 부빌 때마다 나뭇잎에는 물방울들이 맺힌다
맺힌 물방울들은 후두둑 후둑 제 무게에 겨운 비 듣는 소리를 낸다
안개는, 자신이 지운 모든 것들에게 그렇게 스며들어
물방울을 맺히게 하고, 맺힌 물방울들은
이슬처럼, 나뭇잎들의 얼굴을 맑게 씻어준다
안개와
나뭇잎이 연주하는, 그 물방울들의 和音,
강아지가
제 어미의 털 속에 얼굴을 부비듯
무게가
무게에게 몸 포개는, 그 불가항력의
표면 장력,
나뭇잎에 물방울이 맺힐 때마다, 제 몸 풀어 자신을 지우는
안개,
그 안개의 粒子들
부빈다는 것

이렇게 무게가 무게에게 짐 지우지 않는 것

나무의 그늘이 나무에게 등 기대지 않듯이
그 그늘이 그림자들을 쉬게 하듯이

- '도장골 시편- 부빈다는 것' 전문.

이 땅에서 우리 민족의 삶을 노래하는 현역 시인들의 삶 가운데 누항(陋巷)의 삶이 아닌 게 있으랴? 그 가운데서도 가장 힘겨운, 극빈(極貧)의 삶을 살아가는 시인으로는 강화도 바닷가의 함민복 시인과 충청도 어느 산골의 김신용 시인을 들 수 있겠다.

김신용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 <도장골 시편>이 얼마 전 도서출판 '천년의시작'에서 나왔다.

김신용 시인은 1945년 부산 출생으로 1988년 <현대시사상>으로 등단했다. 등단 작품을 비롯한 그 후 그가 쏟아낸 시편들은 구두닦이, 지게꾼 등의 힘겨운 삶의 체험이 오롯이 담겨 있다.

최소한도로 삶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빈집이 수두룩한 시골 마을인 도장골로 들어간 몇 해 동안 시인의 삶이 이번에 새롭게 펴낸 시집 <도장골 시편>으로 시화(詩化) 되어 있다. 시집은 모두 55편의 시편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2부 4편의 시를 제외한 51편이 이른바 '도장골 시편' 연작시들이다.

김신용의 다섯 번째 시집 <도장골 시편>은 앞선 그의 시집들과는 좀 차별성을 갖고 있다. 절절한 삶의 진정성을 담보하고 있는 내용은 이전의 시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시의 제재가 삶의 구체적인 행위(노동)가 아니라 '도장골'의 자연물인 것이 확연히 다른 점이다.

부레옥잠, 다람쥐, 벌레, 담쟁이넝쿨, 민들레꽃, 폐가, 개복숭아, 반딧불이, 마른 수수밭, 밤(栗), 안개, 청개구리, 질경이, 두꺼비 등 '도장골'의 여러 자연물이 시의 주된 제재(題材)들이다. 이순(耳順)의 나이를 지날 동안 밑바닥 인생의 곡절 많은 삶의 체험과 시인의 예민한 시적 감수성으로 그 자연물들은 모두 세상살이의 참모습, 삶의 이법(理法)을 그려내는 중요한 매체로 자리 잡고 있다.

냇가의 돌 위를
민달팽이가 기어간다
등에 짊어진 집도 없는 저것
보호색을 띤, 갑각의 패각 한 채 없는 저것
타액 같은, 미끌미끌한 분비물로 전신을 감싸고
알몸으로 느릿느릿 기어간다
햇살의 새끼손가락만 닿아도 말라 바스라질 것 같은
부드럽고 연한 피부, 무방비로 열어놓고
산책이라도 즐기고 있는 것인지
냇가의 돌침대 위에서 午睡라도 즐기고 싶은 것인지
걸으면서도 잠든 것 같은 보폭으로 느릿느릿 걸어간다
꼭 술통 속을 빠져나온 디오게네스처럼
물과 구름의 運行 따라 걷는 운수납행처럼
등에 짊어진 집, 세상에게 던져주고
입어도 벗은 것 같은 衲衣 하나로 떠도는
그 우주율의 발걸음으로 느리게 느리게 걸어간다

그 모습이 안쓰러워, 아내가 냇물에 씻고 있는 배추 잎사귀 하나를 알몸 위에 덮어주자

민달팽이는 잠시 멈칫거리다가, 귀찮은 듯 얼른 잎사귀 덮개를 빠져나가버린다

치워라, 그늘!

- '도장골 시편-민달팽이이' 전문

김신용의 이런 시 세계를 두고 한국 시단의 중견 시인 천양희 선생은 "도장골 시편들은 그의 등에 접골된 뼈 같고, 날개와 눈이 하나씩 있어서 시와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하는 시의 거대한 새 비익조 같다"고 평했다.

이어 천 선생은 "그의 시는 마치 엘리엇과 예이츠처럼 나이 들수록 깊어지고 넓어지고 높아져, 그 무게를 더하고 있어 늘 회생(回生)한다"면서 "자신의 몸을 쳐 삶을 건너온 자들은 그 시편들을 지나치지 못할 것이다"고 말하고 있다.

김신용의 다섯 번째 시집 <도장골 시편>을 읽으면서 나는 이런 생각을 했다. 시인 자신의 몸과 인생에 화인(火印) 같이 새겨진 삶의 막막함과 고통을 그 스스로 녹이고 또 녹여내어 상처투성이로 살아가는 세상 사람들과 사물(事物)들에까지 생명의 숨결을 불어넣고 있다.

2006년 작가들이 선정한 올해의 가장 좋은 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한 김신용 시인의 '도장골 시편' 연작은 올해 우리 한국 시단이 거둬들인 값진 성과물이다. 그의 '도장골 시편' 연작시는 한국시의 새 그늘로 자리를 잡을 것임이 분명하다.

누에는 다섯 잠을 자고 나면 질적 변신을 꾀하여 고운 고치실을 뽑아낸다. 다섯 잠을 자고 난, 즉 다섯 권의 시집을 펴낸 이후에 새롭게 부를 김신용 시인의 노래가 무척 궁금하다. 점점 한국 시단의 새 그늘을 펼쳐갈 그의 행보(行步)를 똑똑히 지켜보리라.

그런데 저 위에 있는 민달팽이가 소리친다. 괴발개발 펼쳐놓는 이종암의 글자들 그만 치워라? 김신용 시인의 시 한 편이라도 더 읽어보자!

맨땅이었다

언제 그곳에 잎이 있었나?
여름이 되면서 난처럼 피었던 잎들 하나 둘 진무르면서
언제 그곳에 잎이 있었는지도 모르게 지워지더니
어느 날 불쑥, 잎그늘 하나 없는 그 맨땅에서
꽃대 한 줄기 솟아올랐다
돌 섞인 흙과 딱딱하게 굳은 흙바닥일 뿐인 그곳에서
그 흙바닥 밑에 뿌리가 묻혀 있었는지조차 잊었는데
마치 무의식 속에 묻혀 있는 기억을 일깨우는 송곳처럼
닫힌 망각의 문을 두드리는 손가락처럼
솟아올라, 맑은 수선화를 닮은 꽃 한 송이를 피워 물었다
세상에! 잎이 다 진 후에야 꽃대를 밀어올려 꽃을 피우는 뿌리가 있다니!
이 어리둥절함을 뭐라고 해야 하나?
이 돌연함을 어떻게 설명해야 되나?
무슨 畸形의 식물 같은, 잎 하나 없는 꽃대
깡마른 척추뼈가 웃음을 물고 있는 것 같은, 그 꽃을
굳어버린 흙이 흘리는 눈물방울이라고 해야 하나?
지워져버린 잎들이 피워올리는 비명이라고 해야 하나?
아무도 없다고 생각한 빈 밭에서 우뚝 몸 일으킨 아낙처럼
가느다란, 새끼손가락 굵기만 한 꽃대가 꽃을 물고 있는 모습
가슴에 찍히는 지문이듯, 火印이듯 바라보아야 하나?
언제 그곳에 잎이 있어나?
싶은, 그 맨땅에서, 잎도 없이 솟구쳐올라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
이미 멸종된 공룡이
돌처럼 굳어버린 내 의식의 시멘트 광장에 불쑥 나타나, 사라진 쥬라기의 노을을
슬픈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해야 하나?
일생을 잎을 만날 수 없다는 꽃
상사화, 저 꽃이 피는 모습을

- '도장골 시편-언제 그곳에 잎이 있었나?' 전문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