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험 일자리 중심으로 대안적 전략 마련 시급

지역 소멸위험 기초지자체 맵(시군구기준) / ⓒ한국고용정보원
지역 소멸위험 기초지자체 맵(시군구기준) / ⓒ한국고용정보원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전국 시군구 2곳 중 1곳은 소멸위험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방소멸을 특집으로 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을 살펴보면 지방소멸 특집을 주제로 지방소멸 위기에 따른 일자리, 산업, 교육, 지역균형발전 전략을 어떻게 모색할지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연구와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은 올해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지역 간 산업 구조에 따른 양극화, 지방소멸과 이에 따른 지역의 대안적 일자리 전략의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통계청의 주민등록연앙인구 자료와 월별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2022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은 113곳로 전국 228개 시군구의 약 절반(49.6%)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2022년 3월 신규소멸위험에 진입한 기초지자체는 11곳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 쇠퇴 지역(통영시, 군산시 등) 및 수도권 외곽(포천시, 동두천시)으로 확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경남 통영(0.387), 충북 충주(0.451), 충남 당진(0.468), 충남 서산(0.492), 전북 익산(0.489), 전북 군산(0.494), 전남 나주(0.465), 전남 여수(0.482), 경기 포천(0.440), 경기 동두천(0.483), 강원 속초(0.472) 등이다.

비수도권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구성하는 지역 제조업이 2010년대부터 쇠퇴하고 일자리 상황이 악화되면서 청년 인구 유출이 발생했다.

따라서 이러한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일자리 정책 목표의 명확화,  지역 인재 유출 방지,  공간 기반 정책 및 인적 기반 정책의 조화,  지역 고용 취약계층 보호,  지역 맞춤형 고용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