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시민단체, 1200억원 수준에 불과 지적 25% 신규가입자 반대 의사도 밝혀

▲ 녹색소비자연대,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소비자시민모임, 참여연대,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여성소비자연합등 이상 6개 통신 소비자·시민단체는 21일(월) SK텔레콤 타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평균 4만원 요금제로 추가 2천원, 추가 500만명 가입자 혜택을 계산해도 연간 규모는 1,200억 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사진 시사포커스 / 오훈 기자]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선택약정이 현행 20%에서 25%로 상향되면 통신비 절감효과가 연간 1조원에 달할 것이란 정부의 주장은 맞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 전망이다. 

녹색소비자연대,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소비자시민모임, 참여연대,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여성소비자연합등 이상 6개 통신 소비자·시민단체는 21일(월) SK텔레콤 타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평균 4만원 요금제로 추가 2천원, 추가 500만명 가입자 혜택을 계산해도 연간 규모는 1,200억 원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정부는 어떻게 1조로 추정한 것이고, 예측 기간 등을 명확하게 밝혀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 이들 단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택약정할인 25%상향에 대해 신규가입자에게만 적용하겠다는 18일(금) 행정조치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혔다. 

녹색소비자연대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문재인 정부 가계통신비 인하방안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0.2%가 현재 추진 중인 ‘선택약정할인율 인상 등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부족하다고 밝혔다.

신규가입자만 적용할 경우 약 1,300만 명(17년 3월 기준 1,238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기존 가입자는 아무런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 단체는 “과기정통부는 기존 가입자도 위약금만 내면, 25%로 재약정 할 권한이 있다고 밝혔는데, 국민을 위한 정부인지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며 “월2~3천원의 추가할인을 받기위해 최소 1만 원에서 최대 14만 원대의 위약금을 내라고 하는 것은 공무원이 할 수 있는 발언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단체의 주장에 따르면 2011년 이통 3사는 3,157억원의 위약금 수익을 올렸고, 2012년 11월부터는 ‘할인반환위약금제도’를 도입했고, 2012년부터는 위약금 규모를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들 단체는 당초 문재인 대통령의 가계통신비 인하 공약의 취지를 제대로 지킬 수 있는 추가적이거나 새로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단체는 “최소 약정기간을 현재 1년에서 3개월로 낮추는 것과 함께, 재약정할 경우 3·6·9·12개월로 기간을 다양화 하도록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