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 협조하겠다지만 반응은 ‘시큰둥

▲ 문 대통령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동참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포스코그룹이 기간제 근로자 및 사내 하청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나설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 DB]
[시사포커스 / 김용철 기자] 재계10대그룹 중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 가장 압박을 받을 곳으로 포스코그룹이 손꼽히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내걸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 바람이 거세질 것으로 보여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건설, 자동차 및 항공업종 대기업은 그야말로 초긴장 상태다.

문 대통령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동참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포스코그룹이 기간제 근로자 및 사내 하청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나설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10대그룹 중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포스코그룹의 포스코건설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건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체 직원수는 4818명으로 이중 기간제 근로자는 1770명으로 집계됐다. 기간제 근로자 비율은 36.7%에 달했다. 특히 건축부문에서 기간제 근로자 비율이 54.2% 절반을 넘었다.

기간제 근로자는 기간을 정한 사유·기간의 장단·명칭(계약직, 촉탁직, 일용공, 임시공, 계절근로자, 계약사원, 아르바이트, 촉탁사원, 파트타임사원 등) 등에 관계없이 기간을 정한 근로계약을 체결해 고용된 근로자를 가리킨다. 통상 비정규직은 기간제 근로자와 파견 및 용역 등 간접고용 근로자를 통칭하기 때문에 포스코건설의 비정규직 비율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포스코는 사내하청 근로자의 정규직 요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작년 8월 포스코 광양제철소 사내 하청업체 직원 양모씨 등 16명이 포스코를 상대로 제기한 근로자지위확인 등 소송에서 공주고법은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원고 승소판결을 내리고 포스코소속 정규직이라고 판결한 바 있다.

이에 금속노조는 포스코에 사내하청 정규직 전환을 위한 특별단체교섭권을 요구하고 있지만 포스코측은 일절 응하지 않고 있다. 포스코 사내하청노동자는 광양제철소와 포항제철소에서 1만 8000여 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관련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의 정부 정책에 협조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아직 정규직 관련해선 별다른 입장은 없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법원에 1만8000여명의 사내하청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해마다 4000억 원의 추가 비용이 들어가서 기업운영이 어렵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금속노조는 포스코그룹 주주총회 당시 기자회견을 열고 “천문학적인 사내유보금과 영업이익은 대부분 포스코의 협력업체로 불리는 사내하청업체 노동자를 착취한 결과다”고 비판했다.

포스코그룹의 지난해 매출은 24조원, 영업이익 2조6353억원, 당기순이익 1조7850억원을 올렸고 사내유보금은 44조원에 이른다. 포스코의 비정규직 정규직화에 소극적인 모습은 현대자동차와 사뭇 다른 모습이다. 현대자동차는 2015년까지 사내하청 근로자 4000여명을 정규직으로 고용했고, 지난해 1,200명, 올해 800명을 추가 고용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