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매출 증가세에 나는 적자 증가세…장기 투자와 단기 우려 사이

▲ 소셜 커머스 업체 3사의 영업손실이 총 8300억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되면서 치킨게임을 거듭하고 있는 소셜 커머스 업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지난해 쿠팡과 티켓몬스터(티몬), 위메이크프라이스(위메프) 등 소셜 커머스 업체 3사의 영업손실이 총 8300억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되면서 치킨게임을 거듭하고 있는 소셜 커머스 업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쿠팡·티몬·위메프 3사는 총 8384억원대의 영업 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3사는 최근 수 년 사이에 커다란 성장성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막대한 투자를 유치하는 데에 성공했지만 끝없는 할인경쟁, 막대한 투자 등 면에서 소위 ‘치킨게임’을 벌이며 수익성 악화가 날로 심화되는 모습이다.
 
이에 과연 온·오프라인 유통업계에서 혁신을 가져다 준 소셜 커머스 업계가 조만간 공멸의 길로 들어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시장 안착 단계에서의 손실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고 기존 유통업계와 벌인 밥그릇 싸움에서 파이를 키우는 과정이라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따.
 
◆소셜 3사, 매출 증가세 넘는 적자 증가세 우려
최근 업계 선두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쿠팡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과 사상 최대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명과 암을 보였다.
 
지난해 쿠팡은 소셜 커머스 업체 최초로 매출 1조를 돌파, 총 1조3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014년 3478억원에 비해 거의 4배 가량 폭증한 매출이다.
 
이는 쿠팡이 내세우는 ‘로켓배송’과 ‘쿠팡맨’ 등의 서비스가 소비자들에게 먹히면서 소셜 커머스 업체 이상을 꿈꾸는 쿠팡의 노림수가 어느 정도 맞아 떨어진 긍정적인 신호라는 평가다.
 
반면 영업손실도 매출 증가 폭만큼 늘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지난해 쿠팡은 총 547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 2014년의 1194억원에 비해 역시 4배 이상 폭증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위메프도 역시 매출과 영업손실이 나란히 늘었다. 위메프는 지난해 매출 2165억원, 영업손실 142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4년의 1259억원에 비해 매출은 70% 가량 늘었지만 290억원에 불과하던 영업손실은 4배 가까이 늘었다. 매출 증가세를 영업손실 증가세가 크게 웃돈 셈이다.
 
티몬 역시 위메프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티몬의 지난해 매출은 1959억원으로 2014년의 1575억원에 비해 24% 가량 늘었다. 하지만 영업손실이 2014년 246억원에서 지난해 1418억원으로 수직상승, 무려 6배 가까이 적자폭이 확대됐다.
 
특히 소셜 커머스 3사의 영업손실 확대 속도는 기록적인 수준이다. 2013년 1000억원을 갓 넘었던 3사의 영업손실 규모는 이후 3년여 만에 7~8배로 폭등했다. 매출 증가세가 영업손실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추세다.
 
◆지나치게 낮은 이익률에 공멸 우려까지
 
▲ 반면 다른 한 편에서는 “계획된 적자”라는 항변이 나온다. 아직 투자 수요도 충분하고 외연을 확장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별 다른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특히 가장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쿠팡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이익률 탓에 우려를 사고 있다.
 
쿠팡은 로켓배송 등 직매입 사업모델을 강화하면서 매출총이익률(GPM)이 0.1% 남짓하다. 매출이 아무리 증가해도 이익 창출이 거의 불가능한 구조다.
 
한 전문가는 “제로마진 상품 정책으로 유통마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와중에 배송서비스 강화 등의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면서 영업손실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더욱이 올해도 수 천억원 가량의 대규모 투자가 예고돼 있다.
 
지난해 쿠팡은 ‘마이더스의 손’으로 불리는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사장으로부터 무려 1조원이 넘는 투자를 유치하는 데에 성공한 바 있다. 하지만 이익이 나지 않는데도 무리하게 투자가 집행되고 할인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은 업계가 함께 공멸의 늪으로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는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11번가 등 기존 오픈마켓들이 쿠팡의 로켓배송과 유사한 직매입 서비스에 뛰어들 조짐이 감지되면서 차별화를 이끌어내기 힘들 것이라는 비관론도 나온다. 최근 이마트 등 기존의 유통공룡이 ‘쿠팡을 잡겠다’며 가격 경쟁에 불을 붙이고 있는 것도 우려를 낳는 요인이다.
 
티몬이나 위메프 역시 함께 판촉 경쟁을 벌이면서 적자폭 증가세가 우려를 살 만한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소셜 커머스 업체가 ‘속 빈 강정’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KTB투자증권은 “쿠팡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선보이지 않을 경우 지속 가능한 기간은 1~2년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는 비관론을 내놓기도 했다.
 
◆장기 투자 관점에서 봐야…낙관론도 제기
반면 다른 한 편에서는 “계획된 적자”라는 항변이 나온다. 아직 투자 수요도 충분하고 외연을 확장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별 다른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실제 쿠팡의 투자는 물류 창고 등 물류 인프라 확충과 인건비 등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다. 지난해 쿠팡은 물류 인프라 확충에 115억원의 용역비를 투입했고 물류센터도 확충했다. 쿠팡맨을 대거 채용하면서 인건비도 전년에 비해 2배를 넘는 1964억원에 달했다.
 
쿠팡은 “작년 적자는 꼐획된 것이며 물류와 로켓배송을 위한 선제 투자 비용이 89%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인프라 등의 확충이 어느 정도 이뤄지기만 하면 할인 경쟁 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실제 쿠팡의 현금흐름과 재무 비율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쿠팡의 재무활도응로 인한 현금 유입액은 자본금 납입 9212억원으로 마이너스 3303억원으로 기록된 영업활동현금흐름을 상쇄했다.
 
지난해 말 쿠팡의 현금성 자산은 6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채비율 역시 152%로 현대차나 롯데쇼핑, GS리테일 등 견실한 대기업들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티몬과 위메프 역시 “고객 유입 활동과 최저가 관련 선제 투자 때문에 손실이 증가한 것이며 1분기에 이미 손익구조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티몬은 생필품의 최저가 판매를 선언하며 선보인 직매입 방식 ‘슈퍼마트’에 상당액을 투자했다. 위메프는 판매비와 관리비 중 60% 이상이 판매촉진 및 광고선전 등의 마케팅에 사용했다. 출혈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아닌 역시 외연 확대를 위한 투자로 인한 적자라는 항변이다.
 
또한 양사는 최근에도 수 백억원에서 수 천억원 가량의 투자를 유치했거나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티몬은 지난해 KKR-앵커에쿼티파트너스 컨소시엄으로부터 신규 투자를 유치하면서 2015년말 현금자산이 946억을 기록했다. 지난 2014년 대비 57% 증가한 수준이다. 위메프는 372억원으로 전년 대비 6억원 정도가 줄었지만 최근 신규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손실이 커도 투자자들은 매출 등을 보고 계속 투자할 것”이라며 “치킨게임 같지만 업계는 유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범석 쿠팡 대표 역시 “쿠팡은 지속적인 투자를 해 나갈 것이며 우리의 투자자들은 쿠팡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