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로 다가온 인수금융 만기 연장 협상 난항

▲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가 미래에셋자산운용PE 등으로 구성된 재무적 투자자(FI)들과 소송전을 벌이면서 제2의 실트론 사태가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두산인프라코어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두산인프라코어 중국 현지법인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가 미래에셋자산운용PE 등으로 구성된 재무적 투자자(FI)들과 소송전을 벌이면서 제2의 실트론 사태가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달 말 DICC 인수금융 1300억원과 한도대출 300억원 가량에 대한 만기 도래를 앞두고 있는 두산그룹은 인수금융 대주단과의 의견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금융 대주단은 국민연금과 산업은행, KEB하나은행 등이다.
 
사업 악화로 DICC가 중국사업에서 투자금을 회수할 가능성도 낮은 상황이고 매각이나 상장도 현재 불투명한 상황이라 현재 대주단 내부에서도 만기 상환에 대한 입장차가 작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DICC 지분 20% 가량에 투자했던 미래에셋자산운용PE, IMM PE, 하나금융투자PE 등 DICC의 재무적 투자자들은 지난해 말 두산인프라코어를 상대로 투자원금과 이자 15%를 지급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두산인프라코어가 DICC의 매각을 방해했다고 주장하면서 두산그룹과 법정 공방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두산그룹 측은 반면 매각을 방해한 적이 없고 충실히 협조했으며 대출금도 아닌 투자원금을 보전해달라는 요구가 말이 되느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재무적 투자자들은 지난해 5월 동반매도권을 행사, DICC 지분 100%에 대한 공개매각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지분 80%를 보유한 1대 주주 두산인프라코어가 매각 작업에 협조하지 않는 등 주주 간 계열서상 약속한 부분을 지키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중국 시장 침체에 따른 실적 악화로 상장은 이미 물건너 갔다.
 
최근 두산그룹은 그간 매년 기록되던 순손실 때문에 쉽지 않다던 배당을 통해 이자를 지급하겠다며 소를 취하해 달라는 제안을 건넨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만기 연장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하지만 재무적 투자자들은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수금융 자금을 갚지 못하게 되면 해당 지분 20%는 채권단으로 넘어간다. 또한 국내 연기금과 공제회 등이 재무적 투자자들의 펀드로 DICC에 투자한 2000억원대의 투자금은 전액이 날아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국내 자본시장의 주요 관계자들이 두산그룹에 등을 돌리게 되는 것은 물론 현재 두산그룹이 추진 중인 해외 핵심 자회사 ‘두산밥캣’의 상장에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번 분쟁이 제2의 LG실트론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사모투자펀드 운용사 보고펀드는 LG실트론 매각이 무산되면서 투자 과정에서 빌렸던 인수금융의 만기에 디폴트상태에 빠졌다. 채권단은 보고펀드에 담보권을 행사해 LG실트론 지분을 가져왔지만 현재까지도 매각은 지지부진하다.
 
시장에서는 결국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두산 측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두산 측이 전향적인 자구책을 마련해야 대주단이 만기연장을 해줄 수 있는 명분을 얻는다는 얘기다. 특히 올해 박용만 두산그룹 전 회장이 자리를 내놓고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에 취임했다는 점에서 박용만 회장이 어떤 역할을 할지에도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